쿠팡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통제권이 중국으로 넘어갔다는 의혹에 대해 쿠팡이 사실무근이라며 반박했다.
쿠팡은 27일 개인정보 관련 입장문을 통해 “쿠팡의 고객정보는 한국에 저장되고 있으며, 어떠한 개인정보도 중국에 이전되거나 저장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한림네트워크는 쿠팡의 관계사로 글로벌 IT인재들이 개발업무를 담당하는 회사”라며 “부정행위 모니터링 및 탐지 등 업무 목적상 제한적으로 열람할 수 있을 뿐 고객정보를 이 회사에 이전해 저장한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특히 “이러한 제한적인 열람조차도 한국 내 개인정보 책임자의 승인과 관리 및 통제 범위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한국 내 보관된 쿠팡의 고객정보는 중국에 이전 저장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다는 주장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쿠팡의 해명은 앞서 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국민 수천만명이 이용하는 쿠팡앱에 보관된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가 중국기업인 ‘한림네트워크 유한공사’를 통해 중국으로 넘어갈 위기에 처했다고 말하면서 불거졌다.
양 의원은 중국에 있는 쿠팡 자회사인 한림네트워크 유한공사라는 곳에 이전돼 보관 및 관리된다고 설명하면서 중국으로 넘어간 개인정보는 중국 ‘네트워크안전법’에 따라 중국 내에 저장돼야 하며 다른 나라로 이전할 경우에는 데이터 이전으로 인한 국가안전, 사회 공공이익 등 까다로운 항목의 ‘안전평가’를 통과해야 한다고 전했다.
양 의원은 중국당국은 정부가 수집하거나 감시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규제하지 않기 때문에 정보가 중국에 있는 동안에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언제든지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어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페이스북, 애플 ‘앱 추적 투명성(ATT)’ 업데이트로 광고 매출 타격
- SKT 주최 AI컨퍼런스, “양질의 데이터 확보해야”
- 北 연계 해킹그룹 금성121 배후 APT공격 발견 ‘주의보’
- 디지털 마케팅 영향력 커졌다…“2022년, 데이터소스 77% 늘 것”
- 과기정통부, NHN페이코 전자서명인증업무 준수 인정
- 사이버보안에 투자하는 빅테크 기업들…구글·MS, 300억 달러 투입
- 상반기 전세계 신규편입 유니콘 291개…한국은 ‘마켓컬리’ 단 한곳
- ‘화재경보기 무시’ 쿠팡 물류센터 시설관리업체·직원 검찰 송치
- 쿠팡이츠, 갑질 이용자 재발방지책 발표…참여연대 ‘자영업자 대응권 강화해라’
- SPC그룹 산하 '던킨도너츠' 운영사 비알코리아, 비위생 공장 논란에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