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 센서 기반 생활안전케어·공공시설안전 개발
LG유플러스가 동국대학교와 스마트안전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산학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마트안전케어란 IoT센서와 디바이스를 활용해 사회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문화재 관리, 실종자 추적 등 공공의 안전을 위한 치안관리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추후 스마트안전케어 연구센터(가칭)를 설립하고 산학협력 클러스터를 구축해 현장실증 및 검증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노인·사회취약계층 생활안전케어 실증사업 ▲지역사회 공공시설 안전 테스트베드 운영 ▲차세대 치안/안전 플랫폼 개발 등 3개 분야에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LG유플러스는 노인시설을 대상으로 실시간 안전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연내 실증사업 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레이더 센서 등 첨단 ICT를 활용해 화장실이나 계단에서의 넘어짐 등 위급상황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노인들의 재실 여부나 위치정보를 파악해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한다.
동국대 캠퍼스에는 건물 옥상에서 발생하는 추락 등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위험구역 진입감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옥상 출입을 막지 않아도 인공지능(AI) 기반의 IoT센서를 이용해 위험신호를 미리 감지하고 알려주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양측은 향후 레이더 센서와 CCTV를 연계해 시설 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치매노인 등 실종자 찾기와 문화재 도난 방지, 아동시설 위험상황 탐지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하나은행, ‘고요한 모빌리티’ 코액터스에 친환경 LPG 차량 기부
- LGU+, 알뜰폰 사업자와 통신나눔 활동
- SKT, ICT 취약계층 아동 원격수업 지원…스마트단말 기부
- 팬데믹이 견인한 제조업계의 디지털 바람, 스마트 제조혁신 5개 키워드
- 산업부, 추경 288억 확정…수출기업·조선업 인력양성 지원 확대
- SK하이닉스, 행복GPS 사업 확대…보건복지부·경찰청과 ‘맞손’
- ‘디지털 혁신기업’ 선언한 황현식 사장…“비통신 매출 30%대 확보할 것”
- LGU+, 휴컴와이어리스와 통신모듈·라우터 국내 첫 상용인증
- 건설현장, 3분기에만 33명 안전사고로 사망…한양 3명 사망 최다
- 인성정보, 우송대·우송정보대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 완료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