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이 글로벌 클라우드 리전을 대폭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오라클 클라우드 고객사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 확대를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오라클에 따르면, 2022 회계연도의 1분기 동안 현대홈쇼핑과 코리아크레딧뷰로, 초록마을 등의 국내 기업을 미롯해 토요타맵마스터, 엣지큐, 카펫코트, 임포스솔루션즈, 매니지페이 등의 아태지역 기업 고객이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OCI)를 채택했다.
이에 발맞춰 오라클은 유럽, 중동, 아태, 라틴아메리카 등에 14개의 신규 클라우드 리전을 설립하는 등 내년 말까지 최소 44개 이상의 글로벌 클라우드 리전을 확보할 계획이다.
신규로 구축되는 클라우드 리전은 밀라노(이탈리아), 스톡홀름(스웨덴), 마르세유(프랑스), 스페인, 싱가포르(싱가포르), 요하네스버그(남아프리카), 예루살렘(이스라엘), 멕시코, 콜롬비아 등이며, 이외에도 아부다비(아랍에미레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프랑스, 이스라엘, 칠레 등에서 2개의 리전을 추가 구축할 예정이다.
크리스 첼리아 오라클 아태지역 수석부사장은 “OCI는 지난해 엄청난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클라우드라고 다 같지 않다는 현실 인식에 따른 결과로, 고객사가 오라클로 전환하는 이유는 오라클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고객사의 필요를 충족하고, 또한 멀티 클라우드 전략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며 특정 클라우드만 지원하는 정확한 서비스가 필요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고 의미를 강조했다.
현재 아태지역에서 오라클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브라질, 인도, 호주 등에 각기 두 개의 복수 클라우드 리전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이들 리전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등 공공부문 지원을 위한 필수 인증을 획득한 상황이다.
이외에도 오라클은 전용리전과 ‘엑사데이터 클라우드 앳 커스터머’를 통해 기업의 자체 데이터 센터 내에서도 오라클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도 지원하고 있다.
기업 데이터센터에서 클라우드 경험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DCIaaS)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태지역에서는 일본의 NRI 와 호주 데이터센터가 해당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 오라클·MS, '클라우드 ERP' 부분 가트너 매직쿼드런트 리더 선정
- 잡음 없었던 18~49세 백신예약 시스템, “클라우드가 해법이었다”
- 정부 공공시스템,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기회의 땅’ 열린다
- 클라우드 성장세에 고민 깊어진 HW기업들…“DCIaaS로 차별화 승부”
- 오라클 ‘클라우드 ERP·EPM’,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업그레이드
- IDC,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DCIaaS) 시장, 1백배 이상 성장할 것”
- 네이버클라우드, 록키 리눅스 핵심 파트너 선정…오픈소스 생태계 강화
- IBM, 하이브리드클라우드 시장 타깃 ‘IBM 파워’ 서버 출시
- KT, 개방형 플랫폼 ‘KT PaaS-TA’ CSAP 보안인증 획득
- 이노그리드, 대전에 중부지사 개소…공공사업 확대 ‘잰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