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인 차세대 OLED 'S폴더블'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사진은 삼성디스플레이가 선보인 차세대 OLED 'S폴더블'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올해 전세계 폴더블 OLED 출하량이 890만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21 플렉서블 & 폴더블 OLED’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폴더블 OLED의 출하량은 890만대로 예상되며 연평균 53%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025년에는 4,900만대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삼성D)는 2021년 810만대의 폴더블 OLED를 출하하면서 9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D의 2022년 출하량은 1,800만대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삼성D는 폴더블 시장 확대에 발맞춰 현재 9개 폴더블 OLED 모듈라인을 2022년에 추가 증설하고, UTG 강화를 담당하고 있는 도우인시스도 2022년에 라인을 증설할 것으로 보고서는 봤다.

[유비리서치 보고서인용]
[유비리서치 보고서인용]

BOE는 화웨이향으로 인폴딩 방식의 6.8인치 플립 타입과 아웃폴딩 방식의 8인치 폴드 타입의 폴더블 OLED를 개발 중이다. 비전옥스도 아너의 두 번째 공급업체로 폴더블 OLED를 개발 중에 있이며 BOE와 같이 올해 말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BOE, 비전옥스 외 CSOT도 폴더블 OLED 패널을 출하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2022년 삼성D 출하량 대비 유의미한 숫자는 아닐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패널업체가 1,000만대 이상의 폴더블 OLED 출하에는 시간이 다소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