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가 차량 운전대를 필요에 따라 접어서 대시보드에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조향 시스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2년여의 연구개발 끝에 개발한 이 시스템은 전세계에서 아직 양산사례가 없는 신기술로 현재 국내외 특허출원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폴더블 조향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앞뒤로 최대 25cm까지 움직일 수 있어 운전대를 접을 경우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대를 접고 운전석을 180도 회전해 뒷좌석 승객과 대화하거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도 만들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기존 전자식조향장치(SBW) 기술을 시스템에 연계하고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시스템 내구성과 신뢰성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SBW는 운전대의 움직임을 전자신호로 변환해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기계적 연결 장치를 제거해 노면의 요철이나 방지턱을 지날 때 진동이 핸들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주행 상황에 따라 핸들 반응성을 자동으로 높이거나 줄여 안정감을 높이고 서킷이나 구불구불한 길에서 운전자의 드라이브 감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현대모비스는 센서와 전자제어장치(ECU) 등 핵심 전자부품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중 안전 시스템을 적용해 하나의 장치에 이상이 발생해도 정상적인 조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폴더블 조향 시스템을 비롯, 다양한 미래기술을 개발해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등 미래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장에 적극 대응하면서 글로벌 완성차OEM과 선제적 기술을 제안, 수출 주력품목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TSMC에 천문학적 보조금 검토하는 日 정부, “업계 실효성·형평성 논란 일 듯”
- “美·EU, 글로벌 공급망 인권실사 의무 강화…대응책 마련해야”
- 3분기째 이어지는 전장반도체 부족, 완성차OEM 타격 불가피
- 美 반도체 기업들, 기술·자본 앞세워 미래차 시장 지배력 강화
- 포드·월마트, 美 3개 도시서 자율차 배송 서비스 개시
- 현대차·LG엔솔, 인니 배터리 공장 ‘첫삽’…15만대 이상 NCMA 셀 생산
- 드림텍, 자회사 ‘드림텍오토모티브’ 지분 매각 결정
- 과기정통부, 방사선 이용 폐플라스틱 저감 기술 R&D 지원
- 스마트홈 기술 특허출원 증가세…LG전자·삼성전자 출원인 1·2위
- 현대오토에버, ‘새만금 상용차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구축사업 수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