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가 3분기 74조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비대면 업무환경이 확산돼 반도체 사업이 호황에 들어섰고 신규 폴더블폰이 주목받으며 스마트폰 판매가 늘면서 분기 최대 매출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73조9800억원, 영업이익 15조820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전년동기비 매출은 10.48%, 영업익은 28.04% 각각 증가한 수치다.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3분기 영업익은 반도체 초호황기였던 2018년 3분기(17조5700억원) 후 역대 두 번째로 높다.

분기 매출을 견인한 건 반도체다. 반도체 부문에선 전년동기 보다 5조원 이상 많은 10조600억원의 영업익을 올렸다. 3분기 전체 영업익의 64%에 해당하는 수치다.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서버용을 중심으로 수요에 적극 대응해 D램이 분기 최대 출하량과 역대 두 번째 매출을 달성했다”며 “15나노 D램, 128단 V낸드 판매 확대를 통한 원가절감으로 실적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IM) 부문도 매출이 크게 늘었다. 갤럭시Z폴드3, Z플립3 등 신형 폴더블폰이 100만대 이상 팔리면서 IM 매출은 28조4200억원, 영업익은 3조36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는 1조4900억원의 영업익을 냈다. 중소형의 경우 주요 스마트폰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 효과로 실적이 증가했지만, 대형은 LCD 판가 하락 등으로 적자가 지속됐다. 소비자가전(CE) 부분은 3분기 14조1000억원, 영업익 7,6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3분기 시설투자는 1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9조1000억원, 디스플레이 7,000억원 수준이다.

3분기 누계로는 33조5000억원이 집행됐다. 이 중 반도체 30조원, 디스플레이 2조1000억원 수준이다.

삼성전자는 부품 사업에서 첨단공정 확대와 차세대 기술 리더십 제고에 중점을 두고 세트 사업에서 프리미엄 리더십과 라인업 지속 강화를 통한 견조한 수익성 달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다만 부품 공급 차질 가능성과 백신접종 확산에 따른 위드코로나'관련 불확실성도 상존할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는 14나노 D램과 7세대 V낸드 양산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고 극자외선(EUV) 기술 기반의 차세대 제품 양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스템LSI는 대량판매(Volume Zone) 모델 등 시스템온칩(SoC) 라인업을 강화하고, 파운드리는 업계 최초의 3나노(nm) 게이트올어라운드(GAA) 적용으로 기술 리더십 확보와 적극적 투자를 통한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CE 부문도 위드코로나 전환으로 수요 약화가 전망돼 프리미엄 TV 수요 선점과 비스포크 글로벌 확장에 주력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