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기초연구 사업을 통한 이공·인문·사회 분야 융합연구 지원이 강화된다. 신진 연구자가 안정적인 환경에서 연구에만 몰두할 수 있도록 생애 첫 연구 지원사업 대상자 규모도 늘어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5일부터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했다. 과기정통부는 생애 첫 연구 신규과제 공모 수도 올해 506개에서 2022년 600개, 2023년 800개로 점차 늘리기로 했다.
이공계 분야에서 매년 발탁되는 신임 전임교원이 약 750명임을 고려하면 2023년부터는 신임 전임교원 대부분이 생애 첫 연구사업 지원 혜택을 볼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초학제간 분야를 지원하는 ‘융합분야 선도연구센터’도 내년에 3개 내외의 신규과제를 선정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AI)과 4차 산업혁명 ▲응용통계기법 등 연구 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이슈를 고려한 ‘융합형 기초연구실’도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시행계획에는 현장의견을 반영한 제도개선 내용도 포함됐다. 박사 후 연구원과 비전임교원을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프로그램은 주관연구기관 없이 과제를 신청해 선정된 연구자의 주관연구기관 확정 기한을 선정 후 30일 이내에서 6개월 이내로 완화하기로 했다.
우수 연구자의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 재도약 연구과제의 사업 신청기한도 출산·육아휴직 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 ‘오징어게임’ 인기몰이 영향? “OTT 시청 증가, 무선트래픽 1만TB 첫 돌파”
- 과기정통부, ‘5G 특화망 가이드라인’ 배포 개시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KT에 “재발방지 대책 마련해라” 주문
- 절반의 성공 ‘누리호’…내년 5월 2차 발사 준비
- 지하철 와이파이 속도 개선…과기정통부, 실증 착수
- 과기정통부, ‘2022년 통신재난관리 기본계획’ 의결
-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 신청 간소화…과기정통부, 개정안 행정예고
- 법무부, 차세대 형사사법정보시스템(KICS) 구축 추진
- ETRI 박성익 박사,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펠로우 선정
- 과기정통부, 5G+ MEC 융합서비스 페스타 개최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