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지난 1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MEC 기반 5G+ 융합서비스의 민간 확산 촉진과 대국민 성과홍보를 위한 ‘5G+ MEC 기반 융합서비스 페스타’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MEC 산업의 성장 촉진과 5G+ 융합서비스 모델 확산을 위해 산학연 관계자 및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한 교류의 장으로 마련됐다. 개회식에는 MEC 공공선도 사업성과를 한눈에 담은 영상 시청과 MEC 인프라 및 응용서비스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시상도 진행됐다.
디지털 뉴딜 화두 속 MEC 공공선도 사업에 적용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이는 전시회와 기술 동향과 시장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컨퍼런스로 나눠 이뤄졌다.
행사는 공공에 선도적으로 적용된 MEC 기반의 5G융합서비스 모델을 민간에 공개함으로써 기반기술 확산과 5G+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더 빠르고 더 똑똑하고 더 안전한 MEC는 5G 융합서비스를 구현하는 핵심 인프라로 세계 각국은 MEC 기술의 표준화와 신사업 발굴 등 산업 생태계를 선점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시장 선도를 위한 선제적 투자를 지속하고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가 가능한 오픈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MEC 기술을 기반으로 5G가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와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NIA, 파스-타 기반 서비스 개발 및 아이디어 공모전 성료
- 메가존, ETRI와 멀티클라우드 기술 사업화 ‘맞손
- 광주시, 인공지능(AI) 집적단지 첫 삽…AI 생태계 구현 본격화
- 과기정통부, ‘2022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 마련…5일 공모 개시
- ‘오징어게임’ 인기몰이 영향? “OTT 시청 증가, 무선트래픽 1만TB 첫 돌파”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 KT에 “재발방지 대책 마련해라” 주문
- “달팽이 생체신호도 측정”…국내 연구진, 초소형 소프트 로봇 개발
- 과기정통부, 긴급 국가 소프트웨어사업 대기업 참여 패스트트랙 도입
- 과기정통부, 드론·AI 기반 '스마트 갯벌어장' 서비스 개발
- NIA,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제시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