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건강기능식품 분야 중소기업의 신기술‧신제품 개발 촉진과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기술개발 협력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날(8일) 체결된 양 부처 간 협약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안전하고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기술개발 사업의 성과창출 등을 위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자 추진됐다.
현재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11%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나, 국내 건강기능식품 산업은 영세 중소기업이 다수인 산업구조다. 열악한 자금난과 규제 대응 미흡 등의 사유로 기술개발(R&D) 뿐만 아니라 사업화에 필요한 기능성 인정 등 신제품 개발에 애로를 호소하고 있다.
또한 미국, 일본, 유럽 등 글로벌 주요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높은 성장가능성과 고부가가치 산업임을 고려해 투자를 확대하는 추세지만 국내 기업의 글로벌시장 점유율은 2% 내외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기부와 식약처는 이번 협약으로 건강기능식품 연구과제의 사전검토 단계부터 임상까지 기술개발(R&D) 전주기 밀착지원을 추진한다.
세부적으로 중기부와 식약처는 R&D 초기 기획단계부터 안전 규제 기준의 적합성, 제품화 가능성을 진단 평가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방향설정을 지원하고 인‧허가 관련 컨설팅, 교육 실시 등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과 사업화 진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승용 식약처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식약처는 건강기능식품 중소기업에 올바른 규제 안내를 통해 연구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통해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양 부처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원영준 중기부 기술혁신정책관도 “코로나19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산업도 지속 성장추세”라며 “부처 간 협업해 건강기능식품 기술개발 제품의 사업화 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권칠승 장관, “올해 내 中企 탄소중립 대응 지원책 마련”
- 중기부, 최근 4년 소셜벤처 정책추진 성과 발표
- 콘진원, 방송영상콘텐츠 기획·개발 지원작 본격 상용화
- 국내 연구진, 씨앗 구조 3차원 전자소자 개발… 네이처 표지 게재
- 뷰노, 심정지 예측 AI기기 ‘딥카스’ 식약처 허가 획득
- 국토부 보유 3차원 고정밀지도 데이터 공개…자율차 산업 활성화
- 중기부, ‘중소벤처기업 M&A 지원센터’ 5곳 추가 지정
- 씨드앤, 중기부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 선정
-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상반기 연구과제 선정·발표…486억 지원
- SK바사 ‘코로나백신’ 허가…“35년 바이오 투자 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