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29일 식약처 회의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코로나19 백신을 허가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29일 식약처 회의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코로나19 백신을 허가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최종점검위원회에서 품목허가 결정을 받았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제조·판매 품목허가를 신청한 코로나19 백신에 대해 품목허가를 결정했다”며 이렇게 밝혔다.

오 처장은 “이로써 대한민국은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을 모두 보유한 나라가 됐으며, 미래 감염병 유행에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보건·안보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를 모두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영국에 이어 우리나라가 세 번째다.

SK는 30일 바이오산업 진출 35년 만에 국내 대표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바이오 주권을 확보해 사업보국을 하겠다”는 SK 최종현 선대회장의 선구안이 자리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SK는 1980년대 주력사업인 섬유산업을 대체할 미래 성장동력을 고민하던 중 바이오에 관심을 두게 됐지만, 사업화까지는 쉽지 않았다. 당시 제약업계는 다국적 기업의 신약을 수입해 단순 가공·포장하거나 복제 판매하는 수준이었다.

최 선대회장은 1987년 선경인더스트리 산하에 생명과학연구실을 설립해 합성신약, 천연물신약, 제제, 바이오 등 4개 분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생명연구실은 향후 바이오와 백신, 제제 분야로 특화된 SK케미칼, SK바이오사이언스, SK플라즈마의 모태가 됐다.

생명연구실은 1989년 연구소로 확대된 뒤 위암 치료 신약을 1호 과제로 삼고 10년 연구 끝에 1999년 3세대 백금착제 항암제인 선플라를 개발했다. 선플라는 국내 최초이자 세계 최초의 위암 치료 신약이다.

최 선대회장은 미국 뉴저지와 대전 대덕에도 연구소를 설립해 1993년 글로벌 신약 기업을 따라잡기 위한 P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SK바이오팜의 출발점이 됐다.

이후 최태원 SK 회장과 최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최 선대회장의 유훈을 이어받아 바이오 사업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고 SK는 설명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17년 SK바이오팜 미국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방문해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 등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 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17년 SK바이오팜 미국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방문해 조정우 SK바이오팜 대표 등 관계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 SK]

최 부회장은 2006년 SK케미칼 대표를 맡은 후 백신 개발을 위한 스카이박스(SKYVAX) 프로젝트를 추진했고, 경북 안동에 백신 공장을 설립해 2016년 세계 최초로 세포를 배양해 4종의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를 개발했다.

이밖에도 SK는 인공지능(AI)을 활용, 단백질을 분해해 신약을 개발한 로이반트 사이언스에 투자하고 중국에 중추신경계 제약사인 이그니스를 설립하면서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바이오 관련 분야에 향후 5년간 최소 6조원 이상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

SK는 “SK의 바이오 역사는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태원 회장, 바이오 연구진들이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거듭하면서 이뤄낸 성과”라며 “과감한 투자와 연구를 지속해 K-바이오의 신화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