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데이터 분석 기반 우리나라 AI 이슈와 정책과제’ 보고서를 내고 AI 분야 이슈 분석과 우리나라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NIA는 MIT테크놀로지리뷰, 이코노미스트, IDC 등 주요 해외매체에서 도출한 10대 AI 토픽에 대한 국내외 정책 추진 현황을 비교·분석해 우리나라의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종합적인 정책과제를 보고서를 통해 제시했다.
주요 정책과제로는 ▲개방형 AI 도전과제(Repository) 구축 ▲AI 적용으로 정책 예측 ▲AI와 연계된 미래기술과의 적극 연계 ▲차세대 AI 아키텍쳐 연구 ▲공공영역 AI 시스템 검증 및 인증체계 마련 ▲AI 국제공동연구사업 확대 ▲AI와 일자리 관련 통합적 연구 및 계획 추진 ▲AI 정책 센터 설립 ▲AI 정책 현황 대시보드(Dash board) 구축 등 14개 정책과제를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AI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실질적인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AI 도전과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국가 차원의 AI 정책 센터 설립을 통해 추진 현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의사결정을 지원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NIA 문용식 원장은 “정책 연구과정에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경우는 있었지만 이번 사례는 종합적인 정책 기획, 전략과제 도출 등을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며 “AI 일자리 연구, AI 정책 예측 등 체감할 수 있는 정책과제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