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라이브 블록다이어그램
알트라이브 블록다이어그램

네이버랩스가 인지, 측위, 플래닝, 제어 등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기술을 통합해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인 알트라이브(ALTRIV)의 실증에 나선다. 

네이버랩스는 23일 알트라이브의 실증 테스트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 속 알트라이브를 탑재한 차량은 끊김 없는 측위기술을 통해 실외에서부터 GPS가 통하지 않는 지하주차장까지 원활하게 이동하고, 층간 이동을 위한 협소한 램프구간에서도 부드럽게 제어되는 모습을 보였다.

백종윤 네이버랩스 자율주행그룹 부문장은 “도심 속 주행은 다양한 환경과 상황의 변화가 개별적으로 분리돼 존재하지 않고, 하나로 연결돼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만큼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도시 단위 HD맵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AI기술,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을 활용한 알고리즘 검증 프로세스 그리고 다양한 센서 정보를 통합해 복잡한 환경이나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 변화에 모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알트라이브를 고도화했다”고 소개했다.

네이버랩스와 함께 자율주행기술 분야 산학연구를 지속해오고 있는 김아영 서울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자율주행에 관한 연구는 데이터 중심의 AI기술로 무게중심을 옮겨가고 있는 상황”이라며 “네이버랩스와 같이 대단위 HD맵을 제작하는 솔루션과 다양한 위치인식 기술, 복잡한 도심에서 원활히 작동하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개발할 수 있는 곳은 글로벌에서도 흔치 않다”고 평했다.

네이버랩스는 오피스나 빌딩을 넘어 도심 전체로 아크버스(ARCVERSE)를 확장하는 데 자율주행기술인 알트라이브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아크버스는 네이버랩스가 지난 11월 개발자 컨퍼런스(DEVIEW)에서 공개한 기술 융합 생태계로 자율주행, 디지털트윈(DW), 로보틱스, 5G 등의 기술을 융합해 현실과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한편, 네이버랩스는 2017년 IT업계 최초로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획득하고 서울시, 성남시 등 지자체를 비롯해 각 분야 스타트업 및 연구단체들과의 협업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 제2 사옥 및 데이터센터 각 세종 등 기술 융합 레퍼런스 공간을 활용해 고도화한 기술 실증 사례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