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출 3.2% 증가 예상, “수출채산성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악화”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수출 증가율이 올해는 주춤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KERI)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내용을 근거로 ‘2022년 수출전망 조사’ 보고서를 내고 올해 수출은 지난해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3일 전망했다. 이 전망치는 지난해 1∼11월 수출 증가율 26.6%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한국은행,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책기관도 수출 증가율을 각각 1.1%, 4.7%로 보는 등 전년비 큰 폭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한경연은 전했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선박 8.1%, 전기·전자 5.4%, 바이오·헬스 2.2%, 철강 2.1%, 석유화학·제품 1.7%, 자동차·부품 1.1% 등이었다. 조사 대상 기업 중 58.7%는 올해 수출이 전년비 증가할 것으로, 41.3%는 감소할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증가를 예상한 기업의 73.2%는 ▲세계 경제 정상화와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교역 활성화를 그 이유로 꼽았다. 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출 단가 증가(9.6%) ▲주요 경쟁국의 수출경쟁력 약화(5.6%)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승(4.0%) 등도 수출 증가를 전망한 이유로 들었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기업규제·인건비 상승 등 제도적 요인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약화(28.9%)와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27.6%)를 이유로 들었다.

이외 ▲미중갈등·한일갈등 등 외교 문제(16.4%) ▲글로벌 공급망 훼손에 따른 생산 차질(13.2%) ▲높은 작년 수출 실적으로 인한 역기저 효과(16.4%) 등을 꼽았다.

수출 채산성 전망에서는 52.7%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한 가운데 악화 예상 기업이 29.3%로 개선 예상 기업(18.0%)보다 많았다. 

[한경연 보고서인용]
[한경연 보고서인용]

악화될 것을 예상한 기업들은 원인으로 ▲원유·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47.4%) ▲해운 운임 증가 등 물류비 상승(26.3%) ▲환율 변동성 상승(11.4%) 등을 이유로 꼽았다.

한편 기업들은 올해 수출 환경 리스크로 ▲원자재 가격 상승(36.4%) ▲코로나19 재확산(33.8%) ▲미중갈등·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13.5%)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5.1%) ▲보호무역주의 확대(3.1%) 등을 꼽았다.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으로는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55.1%)을 우선으로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미중갈등·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 대처(15.8%) ▲금융지원·세제지원 확대(10.7%) ▲신흥시장 발굴·수출처 다변화 지원(8.7%) 등의 순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긴축에 따른 수입수요 위축, 코로나19 재확산, 미중갈등 등 수출환경이 우호적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며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과 외교 현안 대처에 힘쓰고, 규제·세제 정비 등 제도적 요인을 개선해 우리기업의 수출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