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보고서, “에너지, 공급망관리, 보안 등 ESG 리스크 직면”
테크기업이 에너지 사용, 공급망 관리, 데이터·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서 ESG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삼정KPMG가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ESG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내고 이같이 밝혔다. 테크기업이 산업적 특성에 따른 ESG 리스크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선순위 ESG 과제를 도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ESG는 기업의 리스크 관리를 넘어 새로운 가치 창출로 이어지는 성장 동력으로 부상한 상태로 테크 업계에서도 ESG경영이 확산되고 있다.
KPMG의 조사에 따르면, 테크기업의 70%는 탄소배출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약 50%가 기후변화 이슈를 리스크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6%는 기업의 활동을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테크기업은 데이터센터, 생산 설비 가동으로 전력 사용량이 많고 복잡한 공급사슬에서 인권 및 환경적인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보안과 사이버공격에 민감하며 탄소배출 관련 글로벌 규제 강화 추세도 주요 ESG 리스크 요인으로 꼽힌다.
제품의 생산-유통 과정에서 오염과 폐기물을 유발하기도 하며, 인공지능(AI)과 같은 신기술 개발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사회적·윤리적 이슈도 발생할 수 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재생가능 에너지를 도입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구축의 일환으로 자연냉각이 가능한 해저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하는 프로젝트 나틱(Project Natick)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책임 있는 원자재 소싱 및 공급망 관리를 위해 RMI(Responsible Minerals Initiative) 협의체에 가입해 공급망을 관리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 코발트 채굴과정에서 아동 노동력 착취, 인권침해, 불법 운영 등의 이슈가 불거지면서 테슬라는 ‘코발트 프리’를 선언하며 향후 코발트를 자사 전기차(EV) 배터리에 사용하지 않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19로 원격·하이브리드 근무가 보편화되면서 보안 취약점이 늘고 있다. 테크 산업계는 데이터·사이버 보안도 ESG의 일부로 보고 관련 투자도 늘리고 있다. 구글의 경우 소프트웨어 공급망, 오픈소스 보안 등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5년간 100억달러 투자계획을 공표하기도 했다.
탄소배출을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기업 의무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면서 빅테크 기업도 친환경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거나 첨단 기술과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탄소절감 이니셔티브를 실해하고 있다.
테슬라의 경우 엑스프라이즈 재단(XPRIZE Foundation)을 통해 비용 경쟁력을 갖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개발을 위한 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자원을 채취해 대량 생산하고 폐기하는 선형경제의 대안으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에도 주목하고 있다. 순환경제는 폐기물 최소화에 그치지 않고 자원 채취-생산-소비-재활용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는 데 초점이 맞춰진 모델이다.
테크기업들은 인간이 기술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AI 원칙을 구축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AI의 부작용과 오남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삼정KPMG 전자정보통신반도체 산업 리더 염승훈 부대표는 “테크기업은 제품·서비스가 기획되는 초기 단계부터 상품이 고객에게 전달되고 폐기되는 전체 라이프사이클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ESG 리스크 요소를 파악해야 한다”며 “단일 국가에만 한정되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기업은 전세계적으로 강화되는 ESG 규제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애플, 전세계 기업 최초 시가총액 3조 달러 돌파
- 내년도 반도체·에너지·게임은 ‘맑음’, 디스플레이·손해보험은 ‘흐림’
- “유해 콘텐츠에 노출돼 PTSD 왔다”…틱톡, 콘텐츠 관리직원에 피소
- 벤처캐피털(VC), 12년간 모빌리티(MaaS/TaaS)에 2,600억 달러 투자…이유는?
- KPMG, 자동차산업 향후 5년간 성장세 유지…“전기차(EV) 시장 확산될 것”
- ‘위드 코로나’ 시대…“시장·규제·경쟁·고객 변화 고려한 경영전략 필요”
- 전세계가 주목하는 수소경제…“밸류체인 전 주기 아우르는 수직통합 필요”
- 테슬라, 인권탄압 의혹 제기된 中 신장자치구에 신규매장 오픈…비난 쇄도
- 유통·소비재 산업계 ESG 트렌드는 ‘업사이클’·‘비건’·‘사회적책임’
- “동의는 쉽게, 철회는 복잡하게 한 것이 문제”…프랑스, 구글·페이스북에 벌금 철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