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악용되는 암호화폐는 0.15% 수준, 약 32억 달러 암호화폐 도난

대표 암호화폐 비트코인 [사진=로이터]
대표 암호화폐 비트코인 [사진=로이터]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플랫폼 기업 체이널시스는 지난해 암호화폐 기반 범죄액이 140억달러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0년 78억달러와 비교하면 약 80% 증가한 것이다.

눈에 띄는 점은 암호화폐 사용이 암호화폐 범죄보다 더 가파르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암호화폐 사용액은 2020년 2조4000억달러에서 567% 증가한 15조8000억달러다. 전체 암호화폐 유통액 중 범죄에 이용된 비율은 0.15%에 불과했다.

이와 관련 체이널시스는 “140억달러 규모의 불법행위가 중대한 문제이기는 하지만 합법적인 암호화폐의 사용증가와 함께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범죄에 악용된다는 이유만으로 암호화폐를 제약한다면 무고한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암호화폐 유통액 중 범죄에 악용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9년 예외적으로 반등(전년비 3.37% 증가) 뿐 2017년 1.42%에서 2018년 0.76%, 2020년 0.62%에서 지난해 0.15%까지 계속 줄어들고 있다. 

암호화폐를 악용하는 사이버 범죄집단에 대응해 법 집행기관의 능력도 증가해 암호화폐를 자금세탁에 활용하려는 시도를 위축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법무부는 랜섬웨어 공격그룹으로부터 600만달러의 암호화폐를 회수하는데 성공했으며, 미국 국세청은 35억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미국정부는 국가암호화폐단속팀(NCET)을 출범시켜 암호화폐 범죄에 대한 강력한 단속 의지를 보였다. 이는 암호화폐 악용에 대한 사이버 범죄조직의 의지를 약화시켜 암호화폐 범죄율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 체이널시스의 분석이다. 

범죄에 악용되는 암호화폐 비율변화. [source=chainalysis]
범죄에 악용되는 암호화폐 비율변화. [source=chainalysis]

최근 암호화폐 범죄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도난을 꼽았다. 지난해 약 32억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도난당하는 등 암호화폐 도용은 전년비 516% 증가했는데, 이중 72%인 22억달러는 디파이 프로토콜에서 발생했다.

체이널시스는 “현재 사이버 범죄조직이 보유한 암호화폐 총액은 100억달러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대부분은 최근의 범죄 활동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초기 보유했던 암호화폐 자산의 가치상승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