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부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줄인 상업용 가스식 시스템에어컨(GHP)인 ‘GHP 슈퍼3 플러스(GHP SUPER Ⅲ PLUS)’를 19일 시장에 출시했다.
GHP는 가스를 연료로 엔진을 구동시켜 냉난방을 하는 모델로 전기식 시스템에어컨보다 경제적이다.
LG전자는 이 제품에 처음으로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삼원촉매장치를 신제품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삼원촉매장치는 초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등을 유발하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THC) 등 기존 GHP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질소(N2), 산소(O2) 등 무해한 가스로 변환한다.
LG전자의 설명에 따르면, 이 제품은 KS표준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량이 각각 15ppm, 90ppm, 90ppm 이하로 올해 시행된 산업통상자원부의 강화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기술기준을 충족한 국내 첫 제품이다.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환경부의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언급된 대기배출시설 신고대상 제외 기준)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허용기준의 30% 미만으로 배출)을 만족할 것으로 LG전자는 예상하고 있다.
LG전자는 신제품뿐 아니라 기존에 판매된 GHP에도 삼원촉매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LG전자는 “기업,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대하고자 하는 ESG경영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신제품은 LG 휘센 시스템에어컨을 포함한 다양한 상업용 실내기를 실외기 한 대에 최대 58개까지 연결할 수 있어 오피스, 빌딩, 학교, 의료시설 등 여러 개별 공간을 동시에 냉난방 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전기식 시스템에어컨 대표제품인 멀티브이(Multi V)와 연결해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에어컨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LG전자 에어솔루션사업부장 이재성 부사장은 “친환경·고효율 제품을 지속 선보이며 기업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글로벌 공조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美 정부 압박에도”…中 화웨이, 미국 특허취득 5위 기업 등재
- LG전자, IBM 퀀텀 네트워크 합류…AI·빅데이터·커넥티드카 등에 활용
- 가전제품 고장여부, AI가 진단…삼성, ‘홈케어 매니저’ 선봬
- 삼성, ‘대한민국 에너지대전’서 고효율 스마트홈·스마트빌딩 솔루션 선봬
- LGU+, 축구장 6개 규모 하이퍼스케일급 IDC ‘평촌2센터’ 구축
- 미세먼지 측정기술 고도화…IoT·생명공학 융합 기술 출원 증가세
- 스마트빌딩 구현의 핵심, “공조(空調) 아닌 공조(共助)시스템 구현이 경쟁력”
- KT, 환경DX 원팀 구성…ABC 기반 친환경 혁신 주도
- 산업부, 대·중소기업 ESG 협력네트워크 포럼 출범
- 슈나이더, 포춘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