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B 기반의 시스템인패키지(SiP)와 nSiP가 적용된 패키지 크기 비교 [사진=네패스]
PCB 기반의 시스템인패키지(SiP)와 nSiP가 적용된 패키지 크기 비교 [사진=네패스]

네패스가 nSiP가 적용된 제품을 첫 양산 출하했다고 19일 밝혔다. 자체 고유기술인 nSiP는 재배선(Redistribution Layer, RDL) 기술을 활용해 기판과 와이어를 배제한 웨이퍼레벨패키지(WLP) 기반의 초소형 멀티칩모듈(Multi-chip module) 기술이다.

시장조사업체 욜(Yole)에 따르면, 전체 시스템인패키지(SiP) 시장은 2026년까지 약 19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패스는 서브스트레이트 없이(substrate-less) 패키지를 구현한 이번 사례로 관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네패스가 nSiP를 양산에 적용한 제품은 파워스위치모듈(Power switch module)이다. 디바이스 고사양화에 필요한 집적도 향상 및 칩사이즈 축소 등 고객사의 니즈에 파워디바이스에는 최초로 기판(Substrate)을 배제한 nSiP 솔루션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기판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패키지 대비 1/3 수준으로 소형화할 수 있고, 신호전달거리도 30% 이상 짧아져 칩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 등 고가의 부품수급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공급망관리도 가능하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네패스 반도체사업부 김남철 사장은 “양산을 통해 고객 요구사항인 디바이스의 소형화와 성능 향상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며 “이번 양산을 시작으로 서브스트레이트 기반의 SiP 제품을 대체하는 첨단 솔루션으로서 nSiP의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