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6일 2022년도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공고한다.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은 과기정통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대표사업으로 2019년도 일본 수출규제를 계기로 규모가 크게 증가했고 최근 기술자립과 미래기술 확보에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올해는 전년 2,879억원에서 약 10% 증액된 총 3,158억원이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아울러 미래선도형 기술개발에 보다 초점을 둬 미래기술연구실 30개, 국가핵심소재연구단 15개 등 총 55개 신규과제를 추진한다.
미래기술연구실은 10년 이후의 신산업 선점을 위한 소부장 기술난제 극복을 목적으로 현재 총 34개 연구실이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혈관 치료용 생분해성 금속 소재, 메타버스 구현 센서, 폐플라스틱 자동 선별 기술 등 65대 관련 미래선도품목 확보 및 미래기술 트렌드 기반 창의적 연구에 30개 신규과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5년 내 주력산업 분야 185대 소부장 핵심품목의 기술자립을 목표로 하는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은 현재 총 57개 연구단이 운영 중이다.
올해는 극자외선(EUV) 공정 정밀도 향상, 고주파 필터용 소재, 고감도 수소감지 소재 등 국가가 확보해야 할 국가필수전략기술 관련 소재 연구단을 중점 모집한다.
올해 새로 추진하는 지능형로봇 기반 스마트 소재연구실은 지능형로봇을 활용해 소재의 설계, 합성, 성능평가를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화해 신소재 개발 비용과 시간을 기존대비 50% 이상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IoT 등 연계를 통한 실험 설계 자동화와 실험실 자동화 플랫폼을 시범 개발할 예정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나노 및 소재기술은 반도체, 수소, 우주 등 국가필수전략기술의 기반이 되는 기술로 기술주권 확보를 위해서는 나노 및 소재 기술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2022년 새로운 연구들이 우리나라가 관련 기술경쟁력을 갖추고 미래를 선점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중기부, 2022년 사업연계형 및 컨소시엄형 R&D 지원기업 모집
- 정부, 국가핵심기술 지정 확대…중장기 기술보호대책 발표
- 39개 공공기관 내년도 R&D 부문에 1조4883억 투자 전망
- 네패스라웨, 청안캠퍼스 준공…차세대 FOPLP 양산 돌입
- 중기부·삼성, 中企 신기술 개발에 300억 지원한다
- 불확실성 장기화…“공급망 재편 대응 민관합동 컨트롤타워 필요”
- LIG넥스원·연세대, 국방기술 R&D역량 강화 ‘맞손’…공동연구소 설립 추진
- 구독형 DW 서비스 나온다…SKT, 디지털트윈 얼라이언스 출범
- 과기정통부, 연구현장 지원 위한 제도개선위원회 출범
- ‘범부처 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 본격 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