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IDC가 3일 ‘2021년 국내 하이퍼컨버지드시스템(HCI) 시장 전망 보고서’를 내고 향후 5년간 HCI 시장이 연평균 11% 성장하고 2025년에는 2,729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는 전년비 13.4% 성장한 1,837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IDC에 따르면, HCI는 비용효율적이고 관리가 용이하며 빠르게 구축할 수 있어 클라우드 환경 전환과 함께 인기를 끌고 있다. 가상화된 IT리소스를 통해 신속한 프라이빗클라우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갑자기 증가한 기업의 가상데스크톱인프라(VDI) 수요를 흡수하면서 HCI 시장 성장세가 가속화된 이유로 봤다. 시장을 주도하는 주체로는 하이퍼컨버지드 소프트웨어(SW) 벤더를 지목했다.

최근에는 HCI에서 요구되는 리소스가 증가하면서 보다 높은 성능과 시스템 안정성이 지원되는 고사양 하드웨어(HW)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서버·스토리지 벤더에서도 차별화된 하드웨어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벤더와의 협업을 견고히 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하이퍼컨버지드 시스템 시장 전망 [source=한국IDC]
국내 하이퍼컨버지드 시스템 시장 전망 [source=한국IDC]

한국IDC에서 디지털 인프라 시장 리서치를 담당하고 있는 김민철 수석연구원은 "하이퍼컨버지드 시스템 시장은 업무 환경의 변화로 늘어나고 있는 재택근무 수요는 물론 기업의 디지털화를 지원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아직 VDI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에 도입되는 하이퍼컨버지드 시스템의 비중이 높지만, 향후 시스템 성능 및 안정성 향상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혹은 미션크리티컬 시스템으로 도입되는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워크로드에 대한 꾸준한 레퍼런스 확보와 안정성의 확대로 기업의 디지털화를 주도하는 시스템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