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블럭스가 글로벌 항공우주·정보통신(AICT) 인프라 전문기업인 지스페이스와 함께 고정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각사의 보정 서비스(augmentation service)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유럽, 중국 시장에서 차량 분야를 우선적으로 각자의 서비스 제공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뢰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고정밀 위치추적 제품의 출현으로 GNSS 솔루션의 정확도가 오차범위 수십 센티미터 수준까지 향상되면서 자동차를 포함해 산업용과 로보틱스 분야에도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보정정보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이 파편화돼 있어 고정밀 솔루션의 글로벌 확산에 장애물로 지적돼 왔다.
글로벌 확산을 위해서는 전세계적인 커버리지가 필요하고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자동차 및 산업 분야 고객들에게 양산형 고정밀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단일화된 요금 체계와 사업모델이 필요하다.
아울러 요구하는 기술 사양과 서비스가 저마다 다른 점 역시 이러한 솔루션 개발을 복잡하게 만든다.
유블럭스와 지스페이스가 체결한 이번 협약은 양사가 협력해 미국, 유럽, 중국시장 고객사에게 완전한 스택의 고정밀 위치추적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모회사인 지리그룹(Geely Group)에 차량용 GNSS 보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스페이스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블럭스 포인트퍼펙트(PointPerfect) GNSS 보정 서비스를 활용하게 된다. 유블럭스 역시 이번 제휴로 포인트퍼펙트 서비스의 커버리지를 확대한다.
딩 성 지스페이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유블럭스와 제휴를 체결하게 돼 기쁘다. 이번 협력을 통해 우리는 미국과 유럽 자동차 시장을 지원하고, 우리 제품에 기대하는 높은 기술 수준을 충족하는 경쟁력 있고 포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프랑코 드 로렌조 유블럭스 서비스·제품 부문 수석은 “지스페이스와의 협력으로 아태지역에서 서비스 및 솔루션 공급을 확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중국향 제품을 준비하고 있는 미국과 유럽의 고객사에게 포인트퍼펙트 서비스와 고정밀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LGU+, 부산항에 5G 기반 스마트항만 구현…HJNC와 ‘맞손’
- LGU+ ‘RTK’ 기술, 골프 IT디바이스에 접목…브이씨와 ‘맞손’
- 유블럭스, IoT 기기용 보안 서비스 ‘IoT 인증 매니저’ 론칭
- ‘6G·위성·IoT 아우른다’…과기정통부, 차세대 네트워크 발전전략 추진
- “2022년, 이 기술이 뜬다”…ETRI, 10대 기술 트렌드 발표
- 카카오모빌리티, 스트리스 합병작업 올해 완료…HD맵 기술·활용 확대
- 모빌리티 플랫폼 근간 이루는 자율차, 특허출원 경쟁도 활발
- ‘군집주행기술 구현에 최적화’…유블럭스, V2x 모듈 ‘VERA-P3’ 발표
- KT SAT, 스페이스 데이터 사업 진출…이미지 데이터 시장 정조준
- 네이버클라우드, 세트렉아이와 MOU…“위성 분석 솔루션 SaaS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