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주니퍼네트웍스와 오픈랜(O-RAN) 핵심기술인 소프트웨어 플랫폼 RAN 지능형 컨트롤러(RIC)의 기술 검증을 국내 최초로 진행했다.
오픈랜(O-RAN)은 기지국 등 무선 통신장비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제조사 장비 간 상호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표준기술이다.
이 규격에 기반한 개방형 프론트홀 기술과 전용 기지국 장비 대신 범용서버를 사용하는 등의 하드웨어적인 진화 기술 외에도 최근에는 기지국을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으로 구축해 다양한 업체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오픈랜을 구성하는 장비는 개방형 안테나(O-RU), 가상화된 디지털 처리장치(O-DU/CU), RAN 지능형 컨트롤러 등이다.
25일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이번에 검증한 RAN 지능형 컨트롤러는 인공지능(AI/ML)을 활용해 무선 접속망 장비의 기능·운영을 자동화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중소기업으로부터 공급받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술이 기반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현재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듯이 기지국 소프트웨어도 개별 기지국에 원하는 기능만을 선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도 구축할 수 있다는 게 LG유플러스의 설명이다.
가령 지역 축제처럼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행사가 열리면 통신사는 해당 지역 기지국과 RIC에 별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실시간 기지국 성능·품질 데이터와 행사 규모, 날씨, 과거 이력 등의 정보를 자동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트래픽 발생량을 예측하고 사전에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주니퍼네트웍스와 진행한 이번 검증을 통해 LG유플러스는 오픈랜의 핵심기술인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존 기지국 장비 제공업체가 아닌 다양한 업체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으로도 기지국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실증했다. 향후 5G, 6G 기지국도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오픈랜 기술력의 우위를 유지하고 하드웨어 중심의 생태계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중심의 생태계 확대에도 기여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국내외 오픈랜 파트너와의 협력을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채기병 한국주니퍼네트웍스 지사장은 “현재 주니퍼 네트웍스는 오랜얼라이언스의 워크그룹에 의장, 부의장을 맡고 있으며, RIC 규격 및 실증 부문에서도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라며 “주니퍼네트웍스는 이번 기회를 통해 LG유플러스가 오픈랜 부문에서 또 한 번의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지난해 글로벌 200여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하고 있는 오픈랜 표준화 단체(O-RAN Alliance)’에 가입하고 지난 12월 제3회 글로벌 플러그페스트(PlugFest)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며 O-RAN 규격을 만족하는 5G 오픈랜 장비 실증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 LGU+ 황현식 사장, “MZ세대 관찰하고 잘 아는 것이 성공 방정식”
- 메타버스 생태계 확장하는 LGU+, “NFT 커뮤니티도 오픈한다”
- 키사이트, NTT도코모와 오픈랜(O-RAN) 에코시스템 확장 ‘맞손’
- VM웨어, RAN 지능형 컨트롤러 ‘VM웨어 RIC’ 공식 론칭
- KDDI, 5G 가상화 기지국에 ‘윈드리버 스튜디오’ 도입
- LGU+, O-RAN 얼라이언스 ‘플러그페스트’서 장비 실증결과 공유
- 주니퍼·인텔, 네트워크 기술 통합…오픈랜(O-RAN) 혁신 가속화 ‘맞손’
- 윈드리버, 보다폰 ‘상용 오픈랜’ 구축 핵심 파트너사 선정
- LGU+, “지역별 선거 콘텐츠와 개표 방송, 모바일로 보세요”
- 과기정통부, SK네트웍스서비스 5G 주파수대역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