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유영상 CEO가 도심항공 모빌리티(UAM)의 강한 사업화 의지를 피력했다.
유 CEO는 2일 자사 뉴스룸 칼럼을 통해 “UAM은 막대한 교통 관련 사회적 비용을 해결할 게임체인저”라며 “빠른 속도로 UAM 상용화를 완수해 고객에게는 혁신 서비스를, 주주에게는 무한한 성장가치를, 사회에는 쾌적한 교통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돼 명목 GDP 대비 교통혼잡비용이 3.5% 수준으로 0.2%인 독일의 18배, 0.9%인 미국의 4배에 달한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68조원의 사회적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UAM은 활주로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이용한 도심 내 항공 이동 서비스다. 전기로 구동돼 탄소가 발생하지 않고 우리나라처럼 수도권에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집중돼 있는 지역의 교통체증과 환경오염을 해결할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유 CEO는 “코로나19는 기업 환경과 비즈니스를 재편하고 있다”며 “UAM은 2030년에나 실현 가능한 기술로 여겨져 왔지만 세계적인 혁신 기업은 시기를 앞당기고 있는 만큼 SK텔레콤도 2025년 한국 상공에 상용화를 선도하고 2030년 완전 자율 비행서비스가 가능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UAM 상용화를 위해 이동통신, 자율주행, 정밀 측위, 보안, AI 등 기반 기술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반도체, 배터리 등 SK그룹 관계사의 역량과 UAM 기체 제작 1위 조비 에비에이션,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등과 초협력 체계를 구축,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유 CEO는 “새로운 SK텔레콤이 추구할 10년 후 미래사업은 아직 어떤 기업도 선점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와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가져야 한다”며 “우리가 겪는 사회문제까지 해결하면 금상첨화로 UAM은 이 기준에 부합하는 신사업”이라고 밝혔다.
유 CEO는 UAM과 같이 기술 혁신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로 정의하고 인간의 일을 대신하는 로봇, 자율주행차, 우주 개척 등 신사업을 점진적으로 준비하겠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SKT 컨소시엄,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 제안서 제출
- KT, 1km 구간 무선 양자암호 전송 성공…핵심기술 확보
- LGU+ 컨소시엄, K-UAM 실증사업 참여…내년 실증비행 돌입
- “2040년 1,800조 시장”…韓 UAM 기술 수준, 선진국 60~70% 불과
- ‘월드IT쇼’서 맞붙는 SKT-KT, “AI칩·UAM·방역로봇 등 신기술 겨룬다”
- SKT, AI반도체 ‘사피온’ 미국법인 세운다…글로벌 시장 정조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UAM 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개발 추진
- 카카오모빌리티, 볼로콥터와 UAM 서비스 상용화 ‘잰걸음’
- “지난달 이어 또”…SK에코플랜트, 아파트 건설 현장서 사망사고 발생
- 라이드플럭스, 제주서 레벨3 자율차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