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가 퀄컴테크놀로지, 아르고스다인과 함께 5G 드론 분야에서 협력한다고 밝혔다.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이음5G를 활용한 드론용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력을 집약해 5G 드론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음5G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와 클라우드를 결합해 엔드투엔드 드론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를 조성한다.
아르고스다인은 엔드투엔드 드론 솔루션 지원을 위해 클라우드에서 연동가능한 드론 무인 관제 플랫폼 제공과 퀄컴 플라이트 RB5 5G 플랫폼을 기반으로 5G 및 AI 기술이 적용된 드론 기체 개발을 담당한다.
퀄컴 플라이트 RB5 5G는 저전력의 이기종 컴퓨팅과 인공지능(AI), 5G, 와이파이6 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플랫폼이다.
일곱 대 카메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포맷의 여러 이미지를 고품질로 동시 촬영할 수 있는 4K/8K 카메라 영상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였다. 포괄적인 보안링크와 암호화 기술을 도입한 점도 특징이다.
3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서 올해 하반기에 시제품을 공개하고 기술검증(PoC)을 진행한 후 2023년 상용화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김태창 네이버클라우드 사업총괄은 “5G 클라우드는 디바이스간 초저지연 통신, 실시간 분석·처리 및 서비스 적용이 가능해 무인 드론 운영 환경에 가장 적합한 솔루션”이라며 “국내 첫 이음5G 사업자로 보유 기술과 비즈니스 역량을 극대화해 고객 니즈에 맞는 최적화된 클라우드 기반의 드론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권오형 퀄컴 아태지역 총괄사장은 “퀄컴이 제공하고 있는 커넥티드 지능형 엣지 솔루션들은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성장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며 “기술력과 비즈니스 역량을 동원해 이음5G를 활용한 국내 5G 드론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시장의 발전과 확장에 기여하는 등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도울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르고스다인 정승호 대표는 “자체 개발한 드론 자율비행과 무인운영 시스템을 인정받아 퀄컴 및 네이버클라우드와 5G 드론으로 협력하게 됐다. 이를 통해 보다 안정된 드론 서비스 인프라를 제공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발판을 마련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한컴인스페이스·경희대, AI연구소 공동 설립
- 경쟁사 대비 절반 사이즈…유블럭스, 초소형 GPS 모듈 ‘MIA-M10’ 공개
- LGU+, CJ올리브네트웍스와 이음5G 사업 ‘맞손’
- 숨비, 민군기술이전사업으로 화물용 비행체(CAV) 개발
- 삼성리서치 승현준 사장, “6G 가능성 무궁무진, 지금 준비할 때”
- 20Km까지 늘린다…과기정통부, 차세대 드론 개발에 189억 투입
- 정부 14개 부처, 2022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 확정
- 아이카, ‘2022 지능형 IoT 적용 확산 사업’ 선정
- 과기정통부, NIA·NIPA와 5G 융합서비스 실증 착수
- 퀄컴, 웨어러블 개발 플랫폼 ‘스냅드래곤 W5/W5+’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