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CJ올리브네트웍스와 함께 5G 특화망 ‘이음5G’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협력에 나선다.
이음5G(5G 특화망)는 사업자가 특정 지역이나 건물, 공장 등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허가를 받은 5G 네트워크다.
비면허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와이파이에 비해 통신품질과 이동성, 확장성, 보안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정부는 각각 4.7GHz, 28GHz 대역을 이음5G용 주파수로 할당한 바 있다.
LG유플러스는 이음5G사업 협력을 통해 CJ올리브네트웍스가 탑 티어(TOP TIER) 디지털 서비스 기업으로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고객중심의 혁신기업으로 거듭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연내 CJ그룹 계열사 사업장과 대외 사업현장에 이음5G를 구축해 물류·공장자동화, 빅데이터 분석, 콘텐츠 유통 등 대내외 사업 혁신에 집중할 계획이다.
스마트 물류, 스마트공장 등 로봇 설비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사업장에서는 빠르고 신속하게 대규모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는 5G 드론, 고화질 라이브 생중계, AR/VR 실시간 실감형 서비스, 빅데이터 기반 디지털 사이니지 등 고객 대상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CJ올리브네트웍스에 인터넷 전용회선을 공급한다. 자회사 LG헬로비전도 보조회선을 제공하며 이음5G 사업의 성공을 돕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양자내성암호(PQC) 전용회선 등 신규서비스를 적용해 이음5G의 보안을 강화하고 데이터 제휴를 통해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도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황현식 LG유플러스 사장은 “이음5G 서비스에서도 우수한 IT서비스 역량을 보유한 CJ올리브네트웍스와 협력을 통해 고객경험 혁신사례를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차인혁 CJ올리브네트웍스 대표는 “CJ그룹 및 계열사의 디지털전환 및 로봇 산업을 위한 이음5G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다”며, “물류·공장자동화 지원뿐 아니라 AI, 메타버스, 빅데이터 등 신기술과 융합하면서 사업 전반에 걸친 혁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 5G 특화망 ‘이음5G’ 전용 장비 출시
- KT, 기업특화망 관제 솔루션 ‘아이온(AiON)’ 상용화 성공
- 정부, 국가데이터정책위 신설…“D·N·A 산업에 20조 이상 투입”
- 맥스트·노키아, 5G 특화망-메타버스 융합 솔루션 개발 ‘맞손’
- 과기정통부, NIA·NIPA와 5G 융합서비스 프로젝트 시작한다
- 과기정통부, 의료·클라우드 사업자와 이음5G 확산안 모색
- KT, O-RAN 멀티벤더 기지국 상호연동 시험 성공
- SKT·에릭슨,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5G 코어 내년 상용화
- 네이버클라우드·삼성, 이음5G 상용화 협력…생태계 확장 본격 시동
- 이에이트, 국내 최초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DW) 구현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