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메타버스, 대체불가토큰(NFT) 등 가상융합경제의 확산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보안 이슈 해결을 위해 ‘메타버스‧NFT 보안 협의체’를 구성·발족한다고 밝혔다.
이 협의체는 가상환경에서의 보안 이슈 점검과 업계 협력을 통해 가상세계의 보안을 강화, 가상융합경제 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할 방침이다.
전날(14일) 발족한 협의체에는 통신사와 인터넷 포털, 은행, 블록체인 업계 및 보안기업 등 총 25개 기업과 메타버스산업협회, 정보보호산업협회가 참여했다. 향후 보안 수요·공급기업 간의 지속적인 만남의 장을 주선해 상호간 사업영역 확대의 기회도 만들어갈 계획이다.
협의체 발족과 함께 과기정통부는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제로트러스트, 공급망 보안 등 선진 보안체계를 기반시설에 적용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대응 연구반’을 운영 중이라고 전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구성된 협의체와 사이버보안 패러다임 대응 연구반을 연계·운영해 보안사고 예방과 이용자 보호를 위하여 대응방향과 보안 지침을 마련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김정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가상융합기술의 활용은 기존 산업의 변화를 유도하고 새로운 성장의 모멘텀을 제공해 가상융합경제로 발전될 것”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메타버스, NFT 등 가상융합경제가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보안 위협을 사전에 준비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T,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 출시 1년…글로벌 서비스 준비 박차
- 한국MS, SK쉴더스와 신사업 도모 ‘맞손’…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랜섬웨어 피해기업들, 몸값지불에도 데이터 복구 실패경험 있다”
- 가상 부동산에서 HMD까지…메타버스 산업 확장성 ‘주목’
- 국내 기업, 메타버스·스마트팩토리 관련 AI에 관심
- 랜섬웨어 파급력 커졌다…“기업 30%는 데이터 유출·피해 경험”
- 1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 해킹사고 또 나왔다
- “전세계 산업계, 사이버공격으로 평균 280만 달러 피해 입었다”
- 네이버D2SF, NFT 엔터 콘텐츠 스타트업 ‘모드하우스’에 투자 단행
-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한다”…콘진원, ‘메타버스 콘텐츠 포럼’ 출범
오현식 기자
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