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처리, 경로 최적화로 망 관리 효율성 개선
SK텔레콤이 시스템 경량화를 통해 통신망 신규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트래픽 처리 효율을 높인 코어망을 상용화했다.
SK텔레콤은 에릭슨과 초고속·대용량의 5G 서비스를 위한 패킷 가속 처리, 경로 최적화, 다중 흐름 제어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된 코어망을 상용화했다고 21일 밝혔다.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을 이용한 이 코어망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고, 기존 물리 기반 코어 대비 트래픽 처리 효율성을 최대 50%까지 높였다는 게 SK텔레콤의 설명이다.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는 기존 가상화 기반 시스템과 달리 하드웨어 자원과 클라우드 상의 가상 자원 사이에서 운영체계(OS)를 중복설치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경량화해 줘 급격한 트래픽 증가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비상 시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K텔레콤과 에릭슨이 상용화한 이 방식은 엔지니어가 물리적으로 장비를 관리하는 방식 대비 통신망에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는 속도와 서비스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망 관리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실시간 복구기능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이 방식의 코어망은 개인화 서비스나 기업·기관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온디맨드 형태의 서비스에 적합해 메타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 스마트팩토리를 필두로 하는 B2B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양사는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앞서 지난 2019년부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코어망에 대한 개발·검증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고, 지난해 11월부터는 본격적인 장비 구축을 통해 상용 서비스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SK텔레콤은 향후 6G 코어망의 기본 구조로 사용될 최신 가상화 기술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기술이 5G의 고도화를 넘어 6G 진화로 이어지는 발판이 될 것으로 보고 선제적 도입으로 대응에 나서면서 2025년 완성을 목표로 기술 역량 강화와 연구개발을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박종관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 코어망 상용화를 바탕으로 첨단 ICT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며 “산업 각 분야 특화 서비스 성장과 성공적인 상용화를 목표로 네트워크 기술을 끊임없이 연구개발하고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니카 제스존 에릭슨 솔루션 패킷 코어 총괄은 “한국시장에서 SK텔레콤과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코어 솔루션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에릭슨의 차세대 코어 솔루션으로 글로벌 비즈니스의 혁신 생태계를 계속해서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LGU+, 포스텍과 6G 핵심기술 ‘RIS’ 기술검증
- 주니퍼, 클라우드 메트로 포트폴리오 확장
- 델테크놀로지스, 텔코 타깃 오픈랜·가상랜 지원 솔루션 발표
- SKT·삼성, 5G 옵션4 기술검증 완료…‘MWC 2022’서 연구성과 공개
- KT, O-RAN 멀티벤더 기지국 상호연동 시험 성공
- ETRI,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 국제표준 제정
- LGU+, 국내 최초 클라우드 백본 장비 실증…유연성·안정성 확보
- SKT·에릭슨, 클라우드네이티브 기반 5G 코어 내년 상용화
- 삼성, 英 보다폰에 5G 통신장비 공급…유럽시장 교두보 확보
- LGU+, 中企 대상 구독형 스마트팩토리 서비스 3종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