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 1조8223억원, 영업익 1,71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4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익 모두 각각 34.8%, 5.2% 증가한 것이다. 순익은 1,012억원으로 68% 줄었다.
카카오에 따르면, 플랫폼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비 22% 늘어난 9,307억원으로 집계됐다. 톡비즈 매출은 전년동기비 16% 늘어난 4,532억원, 포털비즈 매출은 18% 감소한 1,24억원, 기타 부문 매출은 52% 늘어난 3,751억원으로 집계됐다.
콘텐츠 부문 매출은 8,917억원으로 51% 늘었다. 이 중 스토리 매출은 2,276억원, 뮤직 매출은 2,93억원, 미디어 매출은 1,180억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게임 매출은 162% 늘어난 3,368억원에 달했다.
게임 매출이 급증한 것은 모바일 게임 ‘오딘’의 대만 매출과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의 신규 출시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올해 2분기 영업비용은 1조6513억원으로 전년동기비 39% 늘어났다. 글로벌 콘텐츠 사업 확대 등으로 인한 마케팅 투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는 “거시경제의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둔화 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카카오톡의 진화와 함께 광고, 커머스 등 비즈니스와의 강결합을 추진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각 탭을 재정의하고 프로필과 친구탭에 비목적성, 소셜 인터랙션 요소를 추가할 예정이다. 기능 업그레이드 등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도 집중할 뜻을 밝혔다.
관련기사
- 카카오, “소상공인 디지털 마케팅 돕는다”…상생안 발표
- “시 쓰는 AI 나왔다”…카카오브레인, AI모델 ‘시아’ 시집 출간
- 빅테크의 역습…애플·AWS 2분기 실적 기대 이상
- 메타, 사상 첫 분기 매출 감소…“탈출구가 안 보인다”
- 삼성 2분기 실적발표, 매출 77조2000억원…“반도체 선방, 환율효과”
- 클라우드 비즈니스 ‘튼튼’…구글·MS, 어닝쇼크 피했다
- SK하이닉스 실적발표, 매출 13조8110억 달성…분기 최대치 경신
- 디지털 광고시장에 몰아친 경기침체의 공포
- [그것을 알려주마] 티빙-시즌 합병으로 알아보는 OTT업계의 생존전략
- 네이버 2분기 실적발표, 매출 전년동기비 23%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