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KAIST)가 13일 산업디자인학과 이우훈 교수 연구팀과 전산학부 이기혁 교수 연구팀이 사물 표면에서 내부를 투시하게 하는 새로운 증강현실(AR) 장치 원더스코프(WonderScope)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에 이 장치를 장착하고 블루투스로 연결, 앱을 켜면 매직 렌즈처럼 전시물 내부를 투시할 수 있다.
연구팀 설명에 따르면, 원더스코프는 전시물 표면에서 스마트폰의 위치를 휠씬 실용적인 방법으로 파악한다. 우선 전시물 표면에 부착된 작은 RFID 태그를 읽어 위치를 파악하고, 2개 광학적 변위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기반으로 상대적 이동량을 더함으로써 움직이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계산한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높이와 전시물 표면 특성도 감안해 최대한 정확하게 위치를 계산하도록 연구했다. 전시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하거나 내장시키면 관람객이 스마트폰으로 매직 렌즈와 같은 증강현실 효과를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은 원더스코프가 2개 상호보완적인 특성의 광학 변위 센서 출력과 가속도 센서 출력을 같이 이용함으로써 종이나 돌, 나무, 플라스틱, 아크릴, 유리 등 다양한 재질은 물론 요철이나 물리적 패턴이 있는 표면에서도 안정적인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범용 가상현실(VR) 및 게임 엔진인 유니티(Unity)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을 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 프로젝트 탬플릿과 원더스코프 지원 툴도 개발했다. 원더스코프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갖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태블릿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원더스코프는 직경 5cm, 높이 4.5cm의 원통형 앱세서리 모듈로 구성, 크기가 작아 스마트폰에 쉽게 부착할 수 있고 대부분 전시물 안에 문제없이 내장시킬 수 있도록 구현됐다.
연구책임자인 이우훈 교수는 “원더스코프가 교육은 물론, 상업 전시에서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며, “나아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인터랙티브 교구로도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달 8일(현지시간)부터 11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ACM 시그래프(SIGGRAPH)의 신기술전시회(Emerging Technologies)에서 원더스코프를 데모 전시했다. 이 학회에서 연구팀은 우수전시상(Best in show honorable mention)을 수상했다.
관련기사
- ETRI, ‘IFA 2022’서 스마트글라스 등 미래 기술 공개
- 카카오, ‘증오발언 근절 원칙’ 일환 코딩북(coding book) 제작한다
- 최준일 KAIST 교수, IEEE 이동체공학 최우수 논문상 수상
- 국내 연구진, 초고해상도 대면적 양자점 패턴화 기술 개발
- 메타, VR 기술로 교육 혁신…“메타버스는 차세대 인터넷”
- PTC, 커넥티드 근무 AR플랫폼 평가서 4년 연속 최고점 달성
- 콘진원, 충청권 지역 간담회…“산학 협력으로 지역인재 키운다”
- “PLM에 AR기술 도입, 생산성 높인다”…팀뷰어, 지멘스와 ‘맞손’
- KAIST 김동준 교수팀, 패킷 기반 네트워크 기술 적용된 SSD용 반도체 개발
- 팀뷰어, 현대차와 전략적 파트너십…DT프로젝트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