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SNS) 서비스를 운영하는 메타가 ‘교육현장에서의 메타버스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가상현실(VR) 기술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서 메타코리아 김진아 대표는 “메타버스는 시공간을 초월한 차세대 인터넷”이라고 소개하면서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기반 기술, 플랫폼 및 다양한 창의적 도구의 개발을 가속화하는 한편, 건강한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과 협업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교육현장에서 실제 활용되는 VR기술로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브이리스브이알의 VR 직업교육 콘텐츠 ‘휠마스터’와 실감형 교육 전문기업 에어패스의 ‘VR 스포츠실’이 소개됐다.
먼저 브이리스브이알의 휠마스터는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VR 직업교육 콘텐츠로, VR 기술을 통해 발달장애인이 휠체어의 정비, 소독, 세척 등의 활동을 보다 쉽고 현실감 있게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됐다.
특히 장애 정도나 학습 능력에 맞게 속도와 반복 횟수를 조절해 효율적 학습이 이뤄지도록 지원한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브이리스브이알은 전국의 교육 기관은 물론 기술 접근성이 낮은 사회적 소외계층 학생, 경력단절여성, 발달장애인 등을 찾아가 맞춤형 VR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약 3만명의 일반 학생과 장애인,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맞춤 교육을 진행했다.
에어패스의 VR 스포츠실은 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해 구현한 메타버스 솔루션으로, 전국 450여개 학교와 수련관, 복지관, 국립특수교육원 등에 공급돼 함께 즐기고 배우면서 운동하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김진아 대표는 “메타버스를 통한 연결 방식의 진화만큼 배움에 있어서도 새로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메타는 기업, 개발자, 교육자 등 메타버스 생태계의 구성원 모두와 함께 협력해 다양한 분야에서 발휘되는 메타버스의 무한한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美 의회, 미디어-플랫폼 간 뉴스 이용료 집단협상 돕는 법안 냈다
- “한국 소비자들, 메타버스 등 신규 앱에 대한 기대 크다”
- 메타, 서울대 중앙도서관에 ‘XR 익스피리언스 센터’ 개관
- 디지털트윈(DW) 활용사례 제시…ETRI, DW 활용지침서 개정판 발간
- “몰입형 경험 확장·AI 자동화 가속 기술에 주목하라”
- 콘진원, 메타버스 콘텐츠 생태계 활성화 작업 본격화
- PTC, 커넥티드 근무 AR플랫폼 평가서 4년 연속 최고점 달성
- 중기부, 메타버스 플랫폼서 ‘국민 서포터즈’ 발대식
- 과기정통부,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출범 1주년 포럼
- 메타, 사상 첫 분기 매출 감소…“탈출구가 안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