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의원실, 사이버보안 담당인력 제자리걸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이 크게 늘었으나 이에 대응할 인력 충원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과기정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2017년∼2021년) 간 과기정통부와 66개 산하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이뤄진 사이버공격은 총 2만1857건에 달한다. 특히 2017년 1,102건에서 2021년 7,891건으로 크게 늘었다.
공격 유형별로 보면 자료 훼손·유출 시도가 1만4637건(66.97%)으로 가장 많았다. 단순 침입 시도는 4,921건(22.51%), 웜·바이러스 감염은 1,935건(8.85%)으로 집계됐다. 자료 훼손·유출 시도의 경우 2017년 85건에서 2021년 6,560건으로 77배 급증했다.
5년간 발생한 사이버공격 중 실제 자료 훼손·유출 등으로 이어진 경우는 총 5건이었다. 이 중 단 1건만 경찰청에 수사 의뢰 조치가 이뤄졌다.
사이버공격이 급증했지만 이를 담당하는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과기정통부와 산하기관에 실제 근무하는 사이버보안 담당 인력은 2017년 평균 3.10명에서 지난해 3.44명으로 제자리걸음 하는 수준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66개 산하기관 가운데 전담 인력이 전무한 기관도 28곳에 달했다. 단 1명뿐인 곳도 24곳이었다.
김영주 의원은 “매년 사이버공격이 급증하는데도 과학기술과 국민의 정보를 보호해야 할 과기정통부와 산하기관의 보안 인력이 5년간 한 명도 채 늘지 않았다”며 “인력부족으로 인한 취약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최근 6년간 정부 시스템 해킹시도 56만건…사이버보안 대책 시급
- “전세계 조직의 절반 이상, 공급망 랜섬웨어 공격 경험 있다”
- 양자내성암호 기술 고도화…삼성SDS, 美 사이버보안센터 주관 프로젝트 참여
- 나날이 느는 보안사고…“보고 지체가 피해 더 키운다”
- ‘워케이션’ 시즌…“보안수칙, 이것만 지켜주세요”
- 써미츠 NFT 보상 사칭 해킹공격 발견 ‘주의보’
- 안전한 가상세계 위해 ‘메타버스‧NFT 보안 협의체’ 구성
- 넷플릭스 등 해외 OTT ‘망 이용료 계약회피 방지법’ 발의
- ‘구글 갑질방지법’, 국회 과방위 통과…여당 단독처리
- 과기정통부, 규제특례 과제 10건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