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탄소중립(넷제로) 실현을 위해 친환경 인프라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향후 시장이 요구하는 더 빠른 데이터 속도를 충족하기 위해 보다 높은 대역의 주파수 이용을 위한 기지국 장비의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포석이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싱글랜 ▲AI 기반 네트워크 설계 ▲냉방·저전력 설계 등 온실가스 직접 감축 등 근원적인 넷제로 실행 방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SK텔레콤은 2019년 도입한 3G/4G 통합형 장비인 싱글랜(Single RAN)을 자사망에 활용해 올해 기준 연 3만여톤의 온실가스를 절감하고 있다. 노후 장비를 교체하고 신규 구축 지역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망 설계방식도 적용 중이다.
지역별 데이터 사용량을 면밀히 분석해 트래픽에 맞는 효율적인 장비로 조정하고, 서울 보라매사옥 등 160여개 사옥·국사에서 태양광 발전 설비를 기반으로 한 기지국을 운용해 에너지 효율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AI 기반 지능형 분석으로 네트워크 트래픽 부하를 관리하는 관제 기술이나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외기유입 방식으로 장비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는 방식으로 전기 사용을 줄이는 기술도 활용하고 있다.
신규 적용되는 솔루션들을 통한 온실가스 추가 감축분은 2030년까지 최대 7만여톤에 이를 것으로 SK텔레콤은 기대했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국내외 장비 제조·구축을 담당하는 이해관계자들과 협업, 전력효율화 등급 지표를 개발해 네트워크 장비들의 소모전력을 낮추는 노력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자사 탄소배출 감축 활동의 노하우를 모아 이동통신사업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백서(Power Saving)를 연내 발간하고, 대형산불에 대비해 소방청 TVWS망을 활용하는 등 공공기관과의 협력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강종렬 SKT ICT Infra담당은 “세계 모든 통신사업자가 당면한 넷제로는 달성에 많은 노력이 드는 도전적 과제”라며, “넷제로 달성을 위해 전사적 역량을 모아 실효성 있는 저전력 솔루션을 구체화하고 사업에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LGU+, O-RAN 기반 스몰셀 구현…“실내 5G 커버리지 검증”
- 삼성, 美 케이블 1위 사업자 ‘컴캐스트’에 5G 장비 공급한다
- SKT, AI 기반 무선망 적응기술 검증완료…상용망 적용 시작
- 다중접속 엣지컴퓨팅 관련 특허출원, 5년새 크게 늘었다
- 빅데이터로 인구 혼잡도 알려준다…KT, ‘실시간 인구 데이터’ 개발
- SKT, SBTi 온실가스 감축목표 검증 통과…“국내 통신사 최초”
- SKT·에릭슨, ‘베어메탈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5G 코어’ 상용화
- 노키아, 차세대 에어스케일 5G 기지국 포트폴리오 확장
- 美 중국산 수입 규제로 韓 태양광 기업 반사이익
- 삼성, 日 NTT도코모에 5G 통신장비 공급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