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SK텔레콤이 개발한 서버용 AI칩(사피온 X220) [자료사진=SK텔레콤]
사진은 SK텔레콤이 개발한 서버용 AI칩(사피온 X220) [자료사진=SK텔레콤]

NHN 데이터센터에 사피온이 개발한 AI칩이 적용됐다.

사피온은 30일 NHN의 데이터센터 ‘NCC(NHN Cloud Center)’에 AI칩 ‘사피온 X220’ 기반 인프라가 적용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 구축한 파일럿 인프라에 추가 구축된 것이다.

NHN 클라우드는 NHN 데이터센터에 2021년 5.22페타 OPS 수준의 사피온 AI 인프라를 구축한 바 있다. 올해 9.22페타 OPS 성능의 사피온 AI 인프라를 확대하면서 총 14.44페타 OPS 성능을 내는 국산 AI칩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현했다. 이는 1초당 1경 4천조번의 연산을 할 수 있는 성능이다.

X220은 AI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저전력으로 실행하는 데이터센터용 시스템반도체다. 동시다발적 데이터 처리에 활용하도록 설계돼 기존 GPU 대비 성능이 우수한 점을 특징으로 내세웠다.

반도체 성능 테스크(벤치마크) 대회인 ML퍼프(ML-Perf)에서 처리속도와 효율성 부문에서 인정을 받았다.

28나노(nm) 공정기술이 적용된 X220-Compact이 ML퍼프 추론 벤치마크에서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용 GPU인 A2 대비 약 2.3배 빠른 처리 성능을 기록했다. X220-Enterprise는 4.6배 높은 성능을 달성했다.

전력효율성 측면에서도 우위를 이어갔다. 전력소모 당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엔비디아 A2 대비 X220-Compact은 2.2배, X220-Enterprise는 2.0배 높은 효율성을 달성했다. 

양사는 다양한 R&D 협력을 진행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한 AI 반도체 실증 지원사업에 공동으로 참여하면서 다양한 AI서비스를 실증해왔다. 

지난해 협력을 통해 GPU 대비 향상된 기술과 성능을 검증, 이를 바탕으로 올해 상용서비스 운영을 위한 인프라를 확대 구축하고 NHN 상용 AI서비스에 적용할 예정이다.

또 국산 AI칩 기반 클라우드 인프라를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제공해 고비용 GPU 인프라 도입에 대한 비용부담을 낮추고 국산 AI칩 기반의 고품질 AI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반환경도 조성하기로 했다.

사피온 류수정 대표는 “저비용 고효율의 AI 클라우드 인프라 기술을 기반으로 중장기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 AI 생태계 조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