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25일 AI서비스 통합 브랜드 ‘익시(ixi)’를 정식 공개했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돕는 AI서비스’의 뜻을 담은 익시는 향후 출시되는 LG유플러스의 다양한 B2C-B2B 분야 서비스에 표기된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새로운 브랜드 공개와 함께 그간 자체 개발한 ▲스포키 스포츠 경기 승부예측 ▲AI컨택센터(AICC) 고객센터 콜봇 ▲AICC 우리가게 AI ▲U+tv 콘텐츠 추천 등 AI서비스도 공개했다.
스포츠 커뮤니티 플랫폼 ‘스포키(SPORKI)’에서 제공되는 AI승부예측은 월드컵 진출 국가들의 국제 경기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경기 결과를 AI로 예측하고 가장 확률이 높은 경기 스코어를 1·2·3순위로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월드컵을 맞아 11월 중 한국 대표팀의 경기를 포함한 조별 예선리그 32게임을 비롯한 전 경기의 승부예측 결과를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내달부터는 자사 고객센터에 콜봇도 도입하기로 했다. 콜봇은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면 AI엔진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고, 이 텍스트를 통해 고객이 어떤 의도로 문의했는지 분석한 뒤 적합한 상담내용을 음성으로 응답하는 서비스다.
콜봇이 가동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음성인식, 자연어처리, 대화시나리오, 음성합성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했다고 설명했다. 11월부터 고객 청구요금 조회, 청구 주소 변경 업무 등 상담서비스에 콜봇을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소상공인을 위한 콜봇 서비스 ‘우리가게AI’도 개발했다. 내년 2월 정식 출시를 앞둔 우리가게AI는 전화 응대업무를 AI가 돕는 서비스로 가게의 특성과 업종에 맞게 음성을 고를 수 있으며, 단골 고객의 응대이력에 기반해 통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AI로 U+tv 시청경험도 높였다. LG유플러스는 고객 피드백에 맞게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AI 기반 추천 엔진을 U+tv에 적용했다. 약 2억5000만건의 VOD, 실시간채널 시청이력 등 고객 이용로그를 분석해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고 이를 U+tv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의 메타 데이터와 결합해 추천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특히 추천모델의 장점을 융합하는 ‘앙상블 기법’과 고객 선택을 기반으로 추천모델을 완성하는 ‘MAB(Multi-Armed Bandit) 알고리즘’을 적용해 추천 기능의 정확도를 이전 방식 대비 33% 높였다고 LG유플러스는 소개했다.
황규별 LG유플러스 최고데이터책임자(CDO)는 “고객 중심으로 AI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일상을 바꾸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포부를 담은 브랜드가 익시”라며 “오늘 공개한 통합브랜드가 고객과의 디지털 접점을 확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디지털 비즈니스 성공, CEO에 달렸다”
- LGU+, 콘텐츠 전문가 신정수·임형택 PD 영입
- 네이버, ‘클로바 라이브챗’ 업데이트…자동응대 범위 확대
- 현대모비스, 영상 분석 AI기술 자체 개발…창원공장에 도입 완료
- SW 개발자 모여라…삼성, 내달 15일 SSDC 개최
- 리브모바일, 제휴 통신망에 SKT 추가…통신3사 망 확보
- LGU+, 임직원 아이디어 사업화 모색 ‘LGU+ 사내벤처’ 선발
- 추천·앱테크 기능 추가…LG유플러스, 멤버십 앱 전면 개편
- KT클라우드, 연말까지 초거대AI 인프라 구축…시장 공략 본격화
- LGU+ 콘텐츠 브랜드 ‘STUDIO X+U’ 첫 선, 오리지널 콘텐츠 ‘아워게임’ 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