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포스코와 반도체 핵심소재인 제논(Xe) 가스의 국산화를 추진한다.
제논가스는 3D V낸드 등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희귀가스 중 하나다. 공기중에 극미량이 포함돼 있어 대형 공기분리장치를 보유한 제철소에서 주로 생산된다.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포스코와 반도체용 제논 가스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2024년부터 제논가스를 공급받는다.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심화된 상황에서 이번 협력을 통해 핵심소재의 국산화와 공급망 다변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2023년까지 광양제철소 공기분리장치에서 제논가스를 추출하는 설비 기술 개발을 추진, 2024년부터 생산을 시작해 2027년까지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포스코가 생산한 제논가스의 품질인증을 거쳐 생산라인에 적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DS부문 구매팀장 전준영 부사장은 “삼성전자와 포스코의 협력은 반도체 핵심소재 국산화와 함께 국내 반도체 소재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스코 윤덕일 경영기획본부장은 “포스코 설비를 활용해 네온에 이어 제논의 국산화를 추진할 수 있게 돼 뜻깊다”며 “삼성전자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안정적인 희귀가스 공급망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MCU 시장 7위 누보톤, “파나소닉 반도체 인수 시너지 낸다”
- 팹리스 VSI, 내달 日요코하마서 ASA 표준 고속 링크 솔루션 시연
- “글로벌 시총 100대 반도체 기업 중 韓 3개사 불과”
- IAR시스템즈, 사이파이브 RISC-V용 전장반도체 코어IP 지원 확대
- 과기정통부, AI칩 스케일업 네트워크 발대식…AI칩 국산화 협력 ‘맞손’
- 중기부,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 3개 신규지정
- 전경련, “국내 원전 경쟁력, 탈원전 이전 대비 65% 수준”
- ETRI, 셀룰로오스 활용한 전고체 전지용 전도성 음극 바인더 개발
- 중기부, 반도체·바이오 47개사 R&D에 90억 지원
- [포토] 이재용, 삼성 회장 취임…27일 이사회 의결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