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미국 소재기업 우르빅스(Urbix)와 배터리 음극재 공동개발협약(JDA)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SK온은 이번 협약을 통해 북미 현지 공급망 강화에 나서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적극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2014년에 설립된 우르빅스는 배터리용 친환경 천연흑연 가공 기술을 보유한 미국기업이다. 애리조나주에 연산 약 1,000톤 규모의 음극재 생산라인을 구축 중이며 생산규모를 2025년까지 연산 2만8500톤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SK온 배터리에 특화된 친환경 고성능 음극재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르빅스가 정제한 흑연을 바탕으로 한 음극재를 SK온이 개발중인 배터리에 적용한 후 성능을 함께 연구·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협업 기간은 2년이며 합의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개발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SK온은 우르빅스로부터 음극재를 공급받아 미국 내 SK온 배터리 공장에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음극재는 양극재와 분리막, 전해질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를 구성하는 4대 요소 중 하나다. 배터리의 수명, 에너지밀도, 충전 속도 등을 좌우한다. 현재 원소재로는 주로 흑연이 쓰이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가장 높은 소재로 꼽혀 배터리 업체 상당수가 공급망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간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기준 전세계 음극재 생산의 85%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SK온의 이번 협력이 ESG 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우르빅스는 정제 과정시 불산, 염화수소의 사용 없이 화학물질의 70%를 재활용하고 있다
선희영 SK온 선행연구담당은 “원소재 확보를 위해 이번 협약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공급망 다각화를 통해 IRA를 오히려 기회 요인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니코 쿠에바스 우르빅스 CEO는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의 생산력 강화를 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이번 협약은 한국, 미국 양 국가의 배터리 핵심 광물 공급망 구축 노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내 연구진, 배터리 성능·안정성 높이는 전극 설계·공정기술 개발
- 中 이어 美·EU서 전기차(EV) 가격 인하 단행한 테슬라, “약일까 독일까?”
- 쏘카·롯데하이마트, 모빌리티 기반 혁신 가속…MOU 체결
- LG엔솔, 日 혼다와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JV) 설립…“2025년 양산 목표”
- GIST 엄광섭 교수팀, EV 주행거리 1.5배 늘린 배터리 양극소재 개발
- “전세계 전기차(EV) 시장, 향후 5년간 17% 성장률”
- [포토] SK온, CES 2023 부스에 전기차용 배터리 NCM9+ 전면 배치
- 테슬라, 지난해 전기차(EV) 130만대 인도…예상치 하회
- BMW 전기차, 제네시스 GV70 등 8,482대 리콜
- LG화학, 美 테네시주에 양극재 공장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