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드론과 이미지 분석 인공지능(AI)을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했다고 전했다.
3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통신탑의 볼트·너트 풀림에 대한 안전도 점검을 위해 사내 전문가 그룹을 통해 이미지 분석 AI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드론 촬영에 활용해 현장검증을 완료했다.
송수신용 안테나를 설치한 통신탑은 전국 방방곡곡에 설치돼 있으며 높이는 최대 75미터에 달한다.
통신탑은 볼트·너트 풀림이나 부식 등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정비가 필요한데, 그간 전문인력이 직접 올라가 상태를 확인하는 육안점검을 시행해왔다.
SK텔레콤은 이번 안전점검 지능화를 통해 통신탑 노후화로 인한 사고 예방과 함께 드론 활용 점검으로 점검자가 통신탑에 직접 오를 요인을 최소화해 점검자의 안전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 드론 촬영 결과 이미지 분석에 불량 판독을 위한 AI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육안 점검 방식 대비 업무생산성도 높였다.
AI모델을 적용하기 전에는 하나의 통신탑을 점검하기 위해 드론으로 촬영한 100여장의 이미지를 점검자가 직접 육안 점검해야 했으나 이미지 판독 AI모델을 활용해 이를 자동화한 것이다.
SK텔레콤은 향후 풍압 안전도/기울어짐 등 점검항목을 추가하고 AI를 고도화해 안전관리시스템과 연동하는 등 시스템 고도화도 이어갈 예정이다.
박명순 SK텔레콤 인프라DT담당은 “이번 통신탑 안전점검에 드론과 AI를 활용해 육안 점검 방식을 효과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점검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고 평가하며 “업무 전반의 혁신과제를 추진하며 AI가 지속 발전할 수 있는 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국내 연구진, 도심서 드론 무력화 ‘안티드론’ 기술 개발
- LGU+, MVNO 컨설팅 매장 ‘알뜰폰+’ 확장 운영
- KT 운송 플랫폼 ‘리스포(LIS’FO)’, 롯데온에 확대·적용
- SKT, 두산로보틱스와 ‘AI바리스타로봇’ 개발…시장 공략 본격화
- “빅데이터로 골목상권 살린다”…KT·서울시, 골목경제 부활 프로젝트 성료
- SKT, 모바일 T월드 개편…단일·종합 포털로 업데이트
- 중기부,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재편…“민간이 주도, 정부는 지원”
- 무인이동체(Drone) 활용한 배송 서비스 현실화 ‘성큼’
- 통신3사,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시장 점유율 85.9%
- LGU+, 데이터 기반 디지털 광고·커머스 사업 경쟁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