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바이오 분야 R&D 쇼케이스’를 개최했다. 17일 서울 강남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과기정통부 소관 중점기술의 사업·연구성과를 국민과 언론에 알리고 현장 소통·공감을 통해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바이오 분야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분야별 이어달리기 방식으로 개최될 예정이다.
R&D쇼케이스 시리즈의 첫 번째 분야인 바이오는 경제적·산업적 잠재력을 큰 분야로 지난해 10월 정부 차원에서 집중·육성하기로 한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첨단바이오’ 분야가 선정된 바도 있다.
행사에서 성균관대학교의 ‘콘크리트 균열 자기치유 미생물 발굴’, 고려대학교의 ‘약물전달과 뇌신호 측정을 위한 초경량 무선 브레인칩’, 이오플로우의 ‘인슐린 의존성 당뇨인을 위한 웨어러블 인슐린 자동 주입시스템’, 아이센스의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초소형 연속혈당측정기’ 등 주요 성과가 소개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오가노이드(미니장기) 실물 관찰’과 한국뇌연구원의 ‘뇌파로 조정하는 드론’ 등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프로그램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오가노이드 기술을 이용한 중추신경 손상 모델과 이를 치료할 수 있는 후보물질 발굴 기술을 개발한 고려대 의과대학 선웅 교수와 초소형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제약회사와 최대 3억5000만달러 규모의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용삼 박사의 특별 강연도 열렸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바이오 분야 주요 연구성과 공유·활용기회를 확대해 연구성과가 사업화로 직접 이어질 수 있는 협력적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며 “신기술·신산업 창출 가능성을 고려한 기초·원천 핵심기술 선별 및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KT, 美 핀드롭과 음성인증 AI 서비스 론칭
- 정부, 수도권에 300조 투입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구축
- 과기정통부, ‘한계도전 R&D 프로젝트’ 킥오프…사업 본격화
- 초거대AI 산업 키운다…과기정통부,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 개최
- KIST, 탄소중립 전략 포럼…‘기술 주도권 확보’ 산·학·연 협력안 논의
- 중기부, 아기유니콘200-예비유니콘 특별보증 참여기업 모집
- 중기부, 中企 연구인력지원사업 참여 기업 모집
- 하나캐피탈·GE헬스케어, 금융 솔루션·의료시장 신기술 도입 지원 ‘맞손’
- LG전자, 美 바야다홈헬스케어와 방문간호 서비스 협력 ‘맞손’
- 과기정통부, 지역 특화산업 연계 SW융합생태계 조성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