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요약세 이유, 내년께 전년수준 회복 예상
올해 글로벌 팹(Fab) 장비 지출액이 전년비 22% 줄어들 것이란 집계가 나왔다. 반도체 수요약화, 모바일·일반 소비자용 전자기기의 늘어난 재고가 주 요인으로 보인다.
21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이 발간한 ‘전세계 반도체 팹 전망(SEMI World Fab Forecast)’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팹 장비 지출액은 2022년 역대 최고치인 980억달러에서 22% 줄어든 760억달러가 예상된다.
1,470개의 생산 시설을 추적·조사한 이 보고서는 올해를 포함, 이후부터 생산을 시작할 142개의 새로운 생산 시설을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됐다.
보고서는 2024년에는 고성능 컴퓨팅(HPC)과 차량용 반도체 투자의 수요 강화로 인해 팹 장비 지출액이 회복세로 전환되면서 올해 대비 21% 상승해 92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봤다.
2024년 대만의 팹 장비 지출액은 올해 대비 4.2% 증가한 249억달러로 팹 장비 지출액 기준 최대 국가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올해 대비 41.5% 증가한 210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3위 시장인 중국은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로 인해 투자에 제동이 걸리며 올해와 비슷한 160억달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북미지역의 팹 장비 지출액은 올해보다 23.9% 늘어난 110억달러로 지출액 4위 시장이 예상된다. 유럽·중동지역은 36% 증가한 82억달러, 일본과 동남아시아는 각각 60억달러와 30억달러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한편 글로벌 반도체 산업계의 생산 능력은 2022년에 7.2% 증가한 후 올해 4.8%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에도 생산 능력은 5.6% 더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봤다.
분야별로 보면 파운드리 분야의 팹 장비 투자액은 2023년에 전년비 12.1% 감소한 434억달러가, 메모리반도체 분야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비 44.4% 감소한 171억달러가 예상된다.
다만 내년에는 파운드리 분야 투자액은 488억달러, 메모리반도체 투자액은 282억달러까지 회복될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파운드리, 메모리와는 달리 아날로그·전력반도체 부문은 전장반도체 시장의 안정적인 성장에 힘입어 2023년에 팹 장비 지출액이 1.3% 증가한 97억달러가 예상되며 내년에도 이 성장세는 유지될 것으로 봤다.
이번 발표에 인용된 SEMI의 “팹 전망 보고서”는 1,470개의 생산 시설을 추적조사하며, 여기에는 2023년 혹은 이후부터 생산을 시작할 142개의 새로운 시설도 포함한다.
관련기사
- 정부, 수도권에 300조 투입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구축
- 키사이트, 인텔파운드리서비스(IFS) EDA 얼라이언스 합류
- 인피니언, 대만 파운드리 UMC와 협력…“차량용 MCU 생산 늘린다”
- 퀄리타스반도체, 기술성 평가 ‘AA’·’A’ 등급 획득…IPO 본격화
- AMAT, 친환경·공정간소화 높인 패터닝 신기술 공개
- [단독] 퓨리오사AI 백준호, “2세대 NPU 내년 상용화, GPU와 전 영역서 경쟁”
- SEMI, “지난해 실리콘웨이퍼 출하량 사상 최고 기록”
- TSMC 4분기 실적, 순익 시장 전망치 웃돌아…“하반기 반도체 반등 예상”
- 올해 파운드리·로직 장비 매출액 16% 증가…“첨단 노드 수요가 견인”
- 올해 웨이퍼 팹(Fab) 장비 부문 지출액 최고치 경신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