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스마트카 등에 첨단 애플리케이션 탑재가 늘면서 지난해 전세계 실리콘웨이퍼 출하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14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2021년 대비 3.9% 증가한 147억1300만 제곱인치로 집계됐다. 첨단 애플리케이션 분야가 성장하면서 8인치/12인치 웨이퍼 출하량이 크게 늘었다.
매출 측면에서 보면 전년비 9.5% 늘어난 138억달러를 기록했다. 버진 테스트 및 에피택셜 실리콘 웨이퍼와 같은 폴리싱 실리콘웨이퍼와 논 폴리시드 실리콘 웨이퍼 모두 포함한 수치다.
안나-리카 부오리카리-안티카이넨 SEMI 실리콘제조사그룹(SEMI SMG) 의장은 “전세계적으로 거시경제적 불안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웨이퍼 산업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며 “실리콘 출하량은 지난 10년 중 9년간 성장세를 이어갔고, 이는 반도체 산업의 성장세 속에서 실리콘 웨이퍼가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韓 반도체 기업 효율성, 100대 반도체 기업 평균치보다 낮다”
- 국내 연구진, 실시간 나노 측정 가능한 3D 표면예측 기술 개발
- TSMC 4분기 실적, 순익 시장 전망치 웃돌아…“하반기 반도체 반등 예상”
- 국내 연구진, 웨이퍼 절단 없는 비파괴 분석장비 개발
- “2023년까지 반도체 생산설비 투자액 5천억 달러 상회”
- ETRI, “글로벌 협력으로 차세대 반도체 개발 선도”
- 삼성, 1Tb TLC 8세대 V낸드 양산 시작
- DMC융합연구단, 펄스파워용 고전압 전력반도체 개발
- 美 중국산 수입 규제로 韓 태양광 기업 반사이익
- 12인치 팹(Fab) 생산량, 2025년께 최고치 달성할 듯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