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23 ESG 트렌드 발표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약 27만건의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업이 주목해야 할 ESG경영 키워드로 ‘지배구조’를 제시했다.
커뮤니케이션그룹 KPR 부설 KPR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는 최근 6개월간 ESG 관련 언급량 27만3762건을 분석한 결과, ESG 요소별 관심도 1위는 지배구조(58%)로 나타났다. 2위 사회(22%), 3위 환경(20%) 순으로 집계됐다.
소비자와 투자자는 구매결정과 자산운용에 있어 기업의 ESG 요소를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으며 ESG경영에 있어 지배구조가 기업가치 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주목받고 있다.
연구소는 “최근 기업의 지배구조 이슈에 대해 소비자와 투자자들의 민감도가 높아졌고 이는 불매운동이나 고발 등 적극적인 행동으로 이어지면서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빠르게 공유되고 확산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SNS를 통해 이슈를 공유하는 행동은 과거와 유사하나 최근 환경, 사회 이슈보다 CEO 리스크와 경영권 분쟁 등 지배구조와 관련된 이슈가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고 전했다.
추가 분석을 통해 불매운동에 대한 매체별 언급 비중을 알아본 결과 트위터가 약 92%로 가장 높았고 커뮤니티가 3.3%, 블로그 2.9%, 매스미디어 0.7%로 집계됐다.
연구소는 “소비 주축이 되는 MZ세대는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소비하는 미닝아웃(meaning-out) 트렌드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불매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기업 이슈를 적극적으로 생산·공유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과 주목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배구조에 대한 주요 연관어로 ‘투자’, ‘평가’, ‘금융’ 등 투자 관련 키워드가 등장하며 기업에 대한 투자와 평가에 지배구조가 밀접하게 연관돼 있었다. 또 ‘주주’, ‘책임’, ‘회장’, ‘이사회’ 등 키워드를 통해 지배구조 개선과 윤리경영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을 나타냈다.
김은용 연구소장은 “투자자의 자산 관리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있어 ESG 요소는 필수 고려 사항”이라며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 2023년에는 지배구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SK그룹, 여성·CEO 출신 사외이사 늘린다…“전문성·다양성·독립성 강화”
- 카카오, S&P글로벌 주관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서 탑1% 등급 획득
- LG엔솔, “재무·환경 정보 투명하게 공개”…TCFD 지지 선언
- 하나금융 함영주, “3대 전략과제 달성, 아시아 최고 금융그룹 도약”
- 전경련, “2021년 기업 사회공헌 비용 전년비 늘었다”
- CJ대한통운, “2050년 넷제로 실현”…기후변화 대응 보고서 공개
- 국가별 100대 기업 지속가능성 공시율 79%…10년 새 15% 늘었다
- 네이버파이낸셜, 신보·IBK기업은행과 온라인 소상공인 대출 지원한다
- SAP, ‘그로우 위드 SAP’ 출시…중견기업 클라우드ERP 도입 촉진
- KB국민은행,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6종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