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공동연구 첫 결과물, LLM 등 협업 영역 확대
나스미디어가 KT와의 AI 공동연구 첫 성과로 AI 기반 광고 최적화 솔루션 ‘나스미디어 AI스위트(Nasmedia AI Suite)’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나스미디어는 앞서 KT와 지난해 4월 디지털 광고분야 AI 혁신 솔루션 도입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공동 R&D 프로젝트를 출범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한 AI스위트는 공동 R&D의 첫 결과물이다.
AI스위트는 KT AI 기술을 기반으로 ▲광고거래 입찰 최적화 시스템 ‘Bid Optimizer(BO)’ ▲부정거래 원천차단시스템 ‘Fraud Detection(FD)’ ▲광고 트래픽 효율화 시스템 ‘Automatic Traffic Curation(ATC)’으로 구성됐다.
광고캠페인이 디지털 매체로 전달되는 모든 단계에 AI기술이 접목된 것으로, 이를 도입하면 광고주와 매체가 쉽게 광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게 나스미디어의 설명이다.
실제 적용단에서 가시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 KT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 딥러닝엔지니어링 프로젝트팀과 공동 개발한 BO시스템은 광고주가 매체의 지면을 입찰할 때 AI가 입찰가 조정을 최적화하는데, 광고 낙찰 비중이 평균 35% 상승함과 동시에 해당 지면을 보유한 매체의 매출이 34% 증가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FD 시스템 역시 보이스 피싱을 막는 AI 알고리즘을 도입해 광고거래에서 발생하는 허수 트래픽을 1/3 수준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나스미디어는 설명했다.
독자 기술로 개발한 ATC는 광고주의 광고거래 이력을 AI 분석을 통한 맞춤형 광고 트래픽 제공하는 것으로 낙찰률이 기존대비 37% 증가, 트래픽 자원 또한 40% 가량 절감하는 등의 성과를 얻었다.
양사는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AI 부문 공동 R&D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대규모언어모델(LLM)까지 협력분야를 넓히기로 합의하고 첫 단계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맥락 광고(Contextual Targeting) 분야 연구를 우선 진행할 방침이다.
KT 융합기술원 김이한 원장은 “지난해 나스미디어와 KT그룹사 간 공동연구의 시너지를 확인했다”면서, “앞으로 공동 R&D 프로젝트를 전 그룹사에 적용하면서 그룹사의 기술혁신과 신성장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스미디어 박평권 사장은 “향후 AI 혁신의 범위를 더 넓혀 대규모언어모델(LLM) 등 차세대 AI 모델까지도 반영, 나스미디어의 AI 기반 디지털전환(DT)을 가속화하고 미래성장동력의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트위터, 신임 CEO에 린다 야카리노…첫 주요 임무는 “광고주 달래기”
- LGU+, MZ세대 겨냥한 일상기록 SNS ‘베터’ 론칭
- 메타, 생성AI 디지털 마케팅 툴 ‘AI 샌드박스’ 도입한다
- 중기부, 미국 뉴욕에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개소
- “팬데믹이 다 바꿨다”…10~50대 온라인 서비스 활용도 증가
- “2022년은 빅테크의 장밋빛 환상이 깨어진 해”…그래도 혁신은 계속된다
- 구글·메타, 온라인 광고 영향력 하락…“美 시장 점유율 50% 아래로”
- 메타, EU 반독점법 위반으로 최대 15조원 벌금 위기
- “2023년 디지털 마케팅 키워드는 ‘Shift’”
- [그것을 알려주마] 키워드 검색광고 최적화…이제 ‘진짜 자동화’ 툴을 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