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LGD)의 초대형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 연구가 학회에서 주목을 받았다.
LG디스플레이(LGD)가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SID)에서 ‘초대형 OLED’와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개발에 적용된 신기술 연구논문이 각각 ‘올해의 우수논문(Distinguished Paper)’에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SID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과 연구진이 한데 모여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전시하고 연구논문을 발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스플레이 학회다. 매년 전세계 디스플레이 연구자가 제출하는 500여편 이상의 논문 중 각 분야별로 혁신적 성과를 낸 상위 20여편의 논문에만 우수논문상을 수여한다.
신홍재 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프리미엄 TV를 위한 신개념 초대형 OLED’를 주제로 80인치 이상 초대형 OLED 개발에 적용된 주요 기술을 소개해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OLED는 화면이 커질수록 고화질을 균일하게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 연구팀은 ▲패널 및 구동 기술 개선 ▲유기발광 소자 성능 향상 ▲베젤 최소화 등을 통해 80인치 이상 초대형 OLED TV 패널을 개발하는데 성공하며 OLED 혁신을 이끌어온 점을 인정 받았다.
특히 메타 테크놀로지 신기술로 현존 OLED TV 중 가장 밝은 2,100니트(nit)를 달성하고 에너지 효율은 22% 개선한 3세대 OLED TV 패널을 소개했다.
LGD는 현재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80인치 이상 초대형 OLED를 양산하고 있다. 2018년 88인치 8K OLED TV 패널에 이어 지난해 현존 최대 97인치 OLED TV 패널 양산에 성공했다.
정해윤 책임을 비롯한 선행기술연구소 연구팀은 ‘고해상도 마이크로 LED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우수논문에 선정됐다.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늘리기, 접기, 비틀기 등 어떤 형태로도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한 프리 폼(Free-Form) 디스플레이로 불린다.
연구팀은 지난해 업계 최초로 화면이 최대 20% 늘어나면서도 일반 모니터 수준의 고해상도(100ppi)와 RGB(적/녹/청) 풀컬러를 동시에 구현한 12인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이 연구를 통해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신축성, 반복 변형 신뢰성을 기존 대비 획기적으로 높여 상용화를 위한 큰 진전을 이뤄낸 점을 인정받았다.
LGD는 21일(현지시간)부터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리는 ‘SID 디스플레이 위크 2023’에서 OLED, 마이크로 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의 논문 15편을 발표할 예정이다.
LGD 최고기술책임자(CTO) 윤수영 부사장은 “혁신적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초대형 및 초고화질 디스플레이, 혁신적 폼팩터 개발을 통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UDC, PPG와 아일랜드 섀넌에 OLED 제조시설 확충
- 삼성, “올해 1분기 국내 노트북 시장 점유율 50% 돌파”
- [구글 I/O 2023] 폴더블 ‘픽셀 폴드’ 공개, AI챗봇 ‘바드(Bard)’ 한국어 지원한다
- “향후 5년, OLED 발광재료 시장 성장률 7.7%”
- 반도체·디스플레이 급감…4월 무역수지 26억달러 적자
- 삼성, 中 가전전시회 ‘AWE 2023’서 89형 마이크로LED 공개
- 솔루스첨단소재 실적발표, 1분기 영업손실 854억원 기록
- “디스플레이 팹은 회복 중”…옴디아, 2분기 가동률 74%로 반등
- 삼성D, 중소형 AMOLED 시장 1위…中 BOE 맹추격
- LGD OLED TV 패널, 업계 최초 ‘카본 트러스트’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