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12일(현지시간)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4차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6G 목표 서비스와 핵심 성능 등 개념을 담은 ‘IMT-2030 프레임워크(6G 비전)’ 권고안이 마련됐다고 23일 밝혔다.
6G 비전은 2030년까지 추진하게 될 6G 국제 표준화를 위한 바탕이다. 권고안은 6G 목표 서비스를 증강현실(AR), 디지털트윈(DW) 등 5G 영역을 확장한 통신 기반 서비스와 인공지능(AI) 및 센싱과 결합을 토대로 한 신규 서비스로 정의했다.
6G 핵심 성능지표로 5G 지표 9개 항목보다 6개 많은 15개 항목이 선정됐고, 이 중 신뢰성, 지연시간, 연결밀도는 5G 대비 최대 10배 향상된 목표값을 제시했다.
서비스에 적용돼야 할 특성으로는 지속가능성과 보안, 개인정보보호, 복구성, 연결성 확장, 지능화 개념이 선정됐다.
우리나라는 6G 비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ITU에 ‘6G 비전 개발그룹’ 신설을 제안했고, 2021년 그룹이 신설된 이후 의장국을 맡아 권고안 수립에 기여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6G 비전 권고안이 올해 9월 ITU 산하 지상통신연구반(SG5) 회의에서 채택되면 승인절차를 거쳐 올해 말 최종 권고로 확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본격화될 6G 국제표준화 경쟁에서도 주도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K-네트워크 2030 전략을 기반으로 6G 연구개발 투자 확대, 2026년 프리(Pre) 6G 기술 시연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미래 기술 트렌드 공유…NIA, 이달 26일 ‘KRnet 2023’ 개최
- SKT, 日 오사카 ‘O-RAN 얼라이언스’ 미팅서 6G 방향성 공유
- 농어촌 5G 공동이용, 2단계 상용화 시작
- 6대 중점전략기술 선정한 ETRI, “임무중심 R&D로 혁신 선도”
- LG전자, 6G 협의체 NGA 애플리케이션 워킹그룹 의장사 선정
- 과기정통부, AI 윤리·신뢰성 확산 활동 본격화
- KT,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 멀티벤더 연동 실증
- LGU+, 에릭슨엘지와 차세대 코어 기술 개발 협력
- 주니퍼, 가상 네트워크 어시스턴트에 ‘챗GPT’ 통합
- 과기정통부, ‘국가나노기술지도’ 만든다…나노기술로 9대 난제 해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