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한미 양국 간 핵심·신흥기술 분야 표준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한미 표준협력 포럼’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날 포럼에는 산업부 장영진 1차관, 미국표준협회(ANSI) 조 바티아 회장, 미국 표준기술원(NIST) 제인 모로우 선임자문관 및 양국 표준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서 지난 5월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핵심·신흥기술에 대한 국가 표준전략’에 대해 주무기관인 NIST가 직접 설명했다.

앞서 미국은 ▲통신·네트워크 ▲반도체·마이크로 전자공학 ▲인공지능·머신러닝(AI/ML) ▲생명공학 ▲위치·경로·시간(GPS) 서비스 ▲디지털신분증명·블록체인 ▲청정에너지 ▲양자정보 기술 등 8대 핵심·신흥기술과 함께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기술 등 6대 기술 응용 분야를 선정해 정부 주도로 표준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표원은 이날 행사에서 한국의 첨단기술 표준화 전략을 공유했다. 한미 민간 표준 전문가들은 5개 분야(반도체/AI/자율차/양자기술/탄소중립) 기술 현황과 표준화 동향에 대해 발표하고 국제표준 주도를 위한 협력안을 논의했다.

지난 9일에는 국제표준화기구(ISO·IEC)의 양국 국가대표 기관인 국표원과 ANSI 간 회의가 열렸다. 회의에서는 핵심·신흥기술 14개 전 분야로 표준협력 분야를 확대하고 구체적인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한 워킹그룹 신설 등에 대해 협의했다.

장영진 차관은 “첨예한 국제표준 경쟁으로 국가 간 전략적 연대가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동맹국인 미국과 한국 간 표준분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양국 간 전방위적인 표준협력 체계를 구축해 핵심·신흥기술 분야 국제표준 주도권을 확보하고 국제표준화기구 리더십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