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국내 최초로 5G IoT 기술 레드캡(Reduced Capability, ResCap) 개발 및 상용 시범망 검증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레드캡은 5G망을 업그레이드해 경량화한 IoT 서비스 지원 기술이다.
5G IoT 단말의 대역폭과 안테나 수를 줄여 단말 자체의 비용을 낮추고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데, 이 기술을 적용한 망은 저전력의 장점과 5G의 대규모 연결성 장점을 함께 갖고 있어 망에 상시 연결돼애 하는 웨어러블 기기, 커넥티드카, 스마트팩토리, CCTV 등 IoT 기기에 적합하다.
SK텔레콤은 노키아·미디어텍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분당 테스트베드에서 상용 주파수 대역 기반 5G IoT 기술 RedCap 개발 및 상용 시범망 필드 테스트를 완료했다.
SK텔레콤은 “이 기술 실증을 통해 단말의 대역폭과 안테나 수를 최적으로 경량화해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레드캡 기술 개발·실증은 자사의 6G와 AI기술 진화 방향성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한 것으로 인공지능과 IoT를 결합하는 AIoT 서비스를 위한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AIoT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국내외 사업자·제조사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국내 최초로 5G IoT 기술 레드캡울 개발·검증함으로써 5G IoT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기반 기술을 마련했다”며, “5G IoT 및 AIoT 상용화를 위한 생태계 구성을 포함해 웨어러블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단말이 본격화되는 6G 진화를 위해 기술 개발 및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ETRI, KT와 ‘네트워크-AI 해커톤’…네트워크 우수인재 발굴
- SKT, 6G 표준화·생태계 방향성 담은 ‘6G 백서’ 발간
- 통신3사, 갤럭시Z플립5·폴드5 예판 개시…가입자 몰이 경쟁 시작
- 과기정통부, 28GHz 대역 주파수 할당 공고
- 삼성, 업계 최초 32Gbps GDDR7 D램 개발
- SKT, 프론트홀 고속전송 위한 파장 확대 기술 개발
- 노키아, “개방형 생태계 확장으로 O-RAN 확산 지원”
- 삼성, “2025년 모바일용 2나노 파운드리 공정(SF2) 양산 개시”
- 과기정통부, 6G 목표 서비스·성능 개념 담은 ‘6G 비전’ 권고안 마련
- 키사이트, 5G 레드캡·CIoT 단일 테스트 환경 ‘E7515R’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