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최태원 회장이 “딥 체인지는 하루 아침에 이뤄지지 않는다”며 구성원 간 소통과 변화과제 도출을 위한 방향성 찾기를 주문했다.
25일 SK그룹에 따르면, 전날(24일) 폐막한 ‘이천포럼 2023’에서 이같이 말하며 ‘스피크 아웃’이 경영 혁신의 출발점이자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스피크 아웃은 최태원 회장이 2019년 구성원들과 한 100번의 행복토크를 진행하며 가장 많이 당부했던 말이다.
최 회장은 “이천포럼 등을 통해 구성원이 어떤 변화를 원하는지 파악해 10월에 여는 CEO 세미나의 경영과제를 도출하는 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밝혔다.
또 “세상의 변화가 너무 빨라 회사도 과거의 성장 공식이 통하지 않고, 개인의 성장 방법도 정해진 답을 구하기 어려워졌다”면서 “성장 방법을 스스로 찾고 주어진 일을 잘하는 사람보다는 스스로 할 일을 찾아 하는 사람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포럼의 한 주제인 ‘커스터머 스토리’에 대해서는 “고객은 계속 관계를 이어갈 스토리를 만들어주지 않으면 떠나버린다”면서 “탄소제로 제품이 비싸도 가치 때문에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니 이제는 물건이 아니라 가치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1일부터 나흘간 열린 올해 이천포럼은 ▲일하는 방식 혁신 ▲구성원 미래역량 확보 ▲평가와 보상 ▲커스터머 스토리 ▲글로벌리제이션 ▲이사회-구성원 소통 제고 등을 다뤘다.
일하는 방식 혁신 세션에선 유연근무제가 행복·생산성·소통/협업·소속감 상승에 기여했다는 실험 결과가 발표됐다. 이 실험에는 8개 계열사 14개 팀 200여명이 참여해 근무시간과 공간 등을 스스로 디자인했다.
SK그룹을 대표하는 지식경영 플랫폼인 이천포럼은 경영진 학습 포럼 형태로 출발했으나, 코로나 시기에 언택트 방식이 더해지며 구성원들도 참여하는 집단지성 플랫폼으로 확장됐다.
이사회도 이천포럼을 통해 구성원들과 적극 소통하고 있다. 6개 계열사 110여명의 이사들이 사전 서브포럼에서 구성원들과 만나 이사회 중심 경영과 거버넌스 스토리 실행 강화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SK 관계자는 "이천포럼에서 모인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딥 체인지 실천 가속화의 촉매 역할을 할 것”이라며 “조직별로 최적의 방안을 디자인해 적극 실행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버티브, 인니 ‘아시아 채널 서밋’ 성료…“데이터센터 ESG 역할 강화”
- 카카오, ‘액티브 그린 어드바이저 테이블’…RE100 실천 방안 논의
- LGD, ‘2023 ESG 리포트’ 발간…2050 탄소중립 달성 선언
- SK하이닉스, 준법경영·부패방지 국제표준 인증 동시 획득
- “협력사 ESG 활동 돕는다”…LG전자, 1천억 규모 ‘ESG 펀드’ 신규 조성
- 네이버, ESG 경영보고서 발간…“지난해 988억원 사회적가치 창출”
- SK그룹 ‘써니(mySUNI)’, 인프라 공유한다…3개 대학과 인재 육성 ‘맞손’
- SK 최태원, “기업가치 키울 신뢰 기반 네트워크 키워야”
- KB금융 차기 수장은 누가 될까?…김병호·양종희·허인 3파전
- 한전, '동해안∼신가평 송전탑' 주민 반발에 홍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