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클라우드(GCP)가 2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연례 콘퍼런스 ‘넥스트 23’을 열고 구글 워크스페이스용 ‘듀엣(Duet) AI’를 출시한다고 정식 발표했다.
지난달 마이크로소프트(MS)가 공개한 ‘MS365 코파일럿’에 도전장을 낸 것으로, 향후 관련 시장에서 경쟁을 예고했다.
구글 워크스페이스는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협업 툴이다. 전세계 약 30억명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듀엣AI는 생성AI를 이용해 회의내용을 메모·요약해주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18개 언어로 번역도 할 수 있다. 구글은 앞서 지난 5월 듀엣AI를 첫 공개한 이후 시범운영을 해왔다. 이 서비스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직원 1인당 30달러의 요금을 지불하면 된다.
MS가 지난달 공개한 MS365 코파일럿은 워드와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과 팀즈 등이 포함된 MS의 사무용(오피스) 툴에 생성AI를 탑재한 제품이다. 이날 구글이 공개한 듀엣AI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이용료도 30달러로 같다.
구글은 일반 이용자를 위한 워크스페이스용 듀엣AI는 내년 초, 클라우드 전반에 걸친 듀엣AI 버전은 연말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토마스 쿠리안 구글클라우드 CEO는 “이제 듀엣AI는 워크스페이스를 넘어 광범위한 구글클라우드 제품 및 서비스에 걸쳐 제공된다”며 “코딩 도우미, 데이터 분석가, 애플리케이션 및 보안 전문가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구글클라우드는 이날 기업들이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도 업데이트했다고 전했다.
구글클라우드는 “버텍스AI를 통해 메타의 최신 언어모델인 라마2와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클로드2 등 100개 이상의 모델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와 파트너십 확장 계획도 알렸다. 양사는 이날 새로운 AI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출시를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통합은 구글 딥마인드(DeepMind), 구글 리서치 팀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엔비디아 칩(AI100/H100)과 솔루션을 활용한다.
구글클라우드는 이달 8일(현지시간) 엔비디아가 선보인 차세대 AI칩 ‘GH200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도 도입하기로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우리는 가속컴퓨팅과 생성AI가 결합해 놀라운 속도로 혁신을 가속화하는 전환점에 서 있다. 구글클라우드와의 파트너십 확대로 개발자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인프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통해 작업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마스 쿠리안 구글클라우드 CEO는 “고객을 위한 혁신을 촉진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AI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을 혁신해 왔다. 구글의 많은 제품이 엔비디아 GPU를 기반으로 구축·제공되고 있으며 많은 고객이 생성AI를 발전시키기 위한 LLM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 가속컴퓨팅을 찾고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 생성AI, 비즈니스 적용 확산…MS, ‘생성AI 혁신사례’ 공유
- “올해 전세계 IT시장, 3.5% 성장한 4조7000억 달러 전망”
- “AI 악용한 사이버위협, 수위 점점 높아진다”
- 월가 눈높이 만족시킨 엔비디아…AI칩 판매 호조로 ‘훨훨’
- “올해 AI칩 매출액, 전년비 21% 늘어난 534억 달러”
- ‘하이퍼클로바X’ 공개한 네이버, “사용자·판매자·창작자 연결하는 위닝루프 핵심”
- “향후 3년간 인적자원 40%에 대한 재교육이 요구된다”
- 생성AI(Gen AI) 기대감 최고조…가트너, “5년 내 혁신성과 달성”
- [그것을 알려주마] 비상하는 ‘생성AI(Gen AI)’, 커져가는 ‘AI리스크’
- 알리바바클라우드, 이미지·텍스트 이해 가능한 대규모 시각언어모델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