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발생한 전자금융사고는 197건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22건(1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프로그램 오류 등으로 10분 이상 전산업무가 중단·지연된 경우는 194건,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 등 전자적 피해는 3건이다.
디도스의 경우 일부 도메인네임시스템(DNS) 업체가 공격받아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이를 이용 중인 금융사 전자금융업무가 중단되는 사고가 있었다.
전산센터의 화재·누수로 인한 시스템 중단 등의 대형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허나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이 중단·지연된 사례, 프로그램 오류로 환전·보험료 출금에서 불편을 겪는 사례 등은 발생했다.
한 증권사의 경우 주식매매 프로그램 오류로 이미 매도된 주식이 계좌에 남은 것으로 잘못 표시돼 고객이 중복거래(주식 추가매도)한 사고도 있었다.
금감원은 “3분기 IT상시협의체 회의를 개최해 전자금융사고 사례를 전파하고 전자금융 안전성 확보방안을 논의했다”며 “금융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하나금융 함영주, 금융허브 홍콩서 글로벌 투자자와 현장소통
- 정부, 정보보호 시장 30조원 규모로 키운다
- 신한금융 진옥동, “늦더라도 인내 갖고 신념으로 정도경영”
- 카카오페이,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서 NFC 기반 태그결제 첫 선
- 첨단·전략기술기업 특례상장 확대한다…‘초격차 기술 특례’ 신설
- 금감원,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에 '경영유의' 2건 조치
- KB부코핀은행, 인니 인디카그룹과 전기차(EV) 생태계 활성화 ‘맞손’
- 신한은행, 보이스피싱 지원·예방에 300억원 출연
- 금감원, MG손보에 과태료 2천만원 부과…자회사와 금지 행위 등 적발
- ‘성과급 잔치’ 벌인 카드사들…고객 민원은 70% 넘게 늘었다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