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타워 전경 [자료사진=SK텔레콤]
SKT타워 전경 [자료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이 자사의 AI 기반 위치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에 실내측위 기술을 결합해 실내 유동인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은 특정 지역 내 기지국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해 실외 이동 인구와 실내 체류 인구의 구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SK텔레콤은 “기지국·와이파이·블루투스 등 전파정보를 통해 실내외 인구 분석이 가능한 딥러닝(DL)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리트머스에 적용해 실내 체류 인구와 실외 이동량 분석이 가능한 AI유동인구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리트머스로 분석된 실내외 유동인구 외에 인구·토지·지역 등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해 지역 내 전체 인구 추정하는 전수화 기술을 적용해 측정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였다.

AI유동인구 기술의 측정 데이터는 실내 체류 인구를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공공 인프라, 교통, 재난, 환경 등에 관련된 수요 및 사업 계획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SK텔레콤은 기대했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과 AI유동인구 비교 [사진=SK텔레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과 AI유동인구 비교 [사진=SK텔레콤]

SK텔레콤은 리트머스 서비스의 일환으로 기술·데이터를 고객사에게 제공할 에정이다. 현재 AI유동인구 기술을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상업건물 일부에 적용한 상태며 향후 적용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담당은 “이번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실내외 구분이 불가했던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었다”며 ”실내 체류 인구 데이터는 이미 많은 수요가 있었고 앞으로 활용처가 무궁무진한 만큼 다양한 협력사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