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DIMM 대비 성능·전력효율성 개선, PC·데이터센터 등 응용처 확대

삼성전자가 개발한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개발한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이미지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LPDDR D램 기반 7.5Gbps LPCAMM을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 LPCAMM은 LPDDR 패키지 기반 모듈이다. 기존 DDR 기반 So-DIMM 대비 성능과 저전력, 디자인 효율성 측면에서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기존 PC나 노트북에는 LPDDR 패키지 제품을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한 온보드 방식이나 DDR 기반 모듈 형태의 So-DIMM이 사용되고 있다.

온보드 방식은 소형화·저전력 등의 장점이 있으나 메인보드에 직접 탑재돼 교체가 어렵고, So-DIMM은 모듈 형태로 탈부착은 가능하지만 전송 속도와 공간 효율화 등에서 물리적으로 개발 한계가 있다.

삼성전자는 “LPDDR을 모듈에 탑재해 고성능·저전력을 구현함과 동시에 탈부착을 가능하게 해 제조사에게는 제조 유연성을, 사용자에게는 교체 및 업그레이드 등의 편의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LPCAMM은 So-DIMM 대비 탑재 면적을 최대 60% 이상 감소시켜 PC나 노트북의 부품 구성 자유도를 높여 배터리 용량 추가 확보 등 내부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도 자유도를 제공한다는 게 삼성전자의 설명이다.

특히 LPCAMM은 So-DIMM 대비 성능은 최대 50%, 전력효율은 최대 70%까지 높이면서 인공지능(AI/ML), 고성능 컴퓨팅(HPC), 서버, 데이터센터 등 응용처도 확대될 것으로 삼성전자는 기대했다.

데이터센터 고객사의 경우 LPDDR 탑재를 고려한 전력 운영과 총소유비용(TCO) 효율화를 검토 중이다. LPCAMM을 서버에 적용하면 원하는 성능으로 제품을 교체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고 전력 운영성 관점에서도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현재 이 제품은 인텔 플랫폼에서 7.5Gbps LPCAMM 동작 검증을 마친 상태다. 삼성전자는 2024년 상용화를 위해 연내 인텔을 포함한 주요 고객사와 차세대 시스템에서 검증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팀 배용철 부사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성능·저전력·제조 융통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LPCAMM은 PC·노트북과 데이터센터 등으로 점차 응용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LPCAMM 솔루션 시장 확대 기회를 타진해 신규 시장을 개척하면서 메모리 산업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